대도시 일부 여대학생들의 식이섭취행태, 체성분 및 골밀도와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intake pattern body component bone mineral density(BMD)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of college women and we wan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se factors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Research was conducted to offer b...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wisaeng gwahakoeji Vol. 10; no. 3; pp. 147 - 153
Main Authors 정영희, Jung, Young-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치위생과학회 01.06.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478
2233-76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intake pattern body component bone mineral density(BMD)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of college women and we wan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se factors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Research was conducted to offer basic data to develope a nutritional program for the future prevention from oral disea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2 colleg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food intake survey and who's body component and BMD was measur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SPSS 1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ood intake pattern was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DMFT index. 2. The body component was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DMFT index. 3. The SOS, BQI was directly correlated with DMFT index(p<0.05). 4. T-score of BMD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MFT index(p<0.05).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bone mineral density are 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a nutritional and health promotional program in order to prevent oral illnes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상태평가를 위해 먼저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이들의 식이섭취행태를 영양소 단위에서 분석하고, 두 번째로 체성분 및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구강검진을 시행하여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식이섭취행태, 체성분 및 골밀도와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지역적 편차와 지리적 접근이 용이한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 치위생과 재학생 150명을 연구모 집단으로 선정하여 2009년 10월 10일 1차 조사를 시행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참여에 동의한 150명중 자료처리에 부적합한 18명을 제외한 13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총 섭취에너지는 평균 $1921.230{\pm}236.865kcal$였고, 나트륨 섭취는 $4433.026{\pm}1970.72mg$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체형은 $2.98{\pm}0.99$점으로 표준체형(3점)이었으며, T-score는 평균 $-1.110{\pm}1.647$로 대부분의 학생이 약간의 골감소증(T-Score -1 ~ -2.5이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평균 $6.03{\pm}1.95$개로 나타났다. 2. 분석결과 대상자의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 1일 평균 섭취에너지, 영양소 모두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분석결과 대상자의 체성분과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분석결과 대상자의 골밀도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 검정에서 SOS, BQI에서 우식경험영구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pm}0.2$미만으로 아주 미약하게 나타났다(p<0.05). 5. 독립변수들의 유의성 검증결과 T-score(p<0.05)가 ${\alpha}=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대생들의 영양상태 및 체성분은 치아우식증과 유의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골밀도척도인 SOS, BQI에서는 미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T-score는 우식경험영구치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조사에서 연구대상자의 수를 확대시키고 구강관리행태와 사회경제적 요인을 보정하여 연령별 영양상태, 체성분 및 골밀도과 치아우식증간의 관련성을 구명할 수 있는 자료를 더 많이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008236409319
G704-002151.2010.10.3.003
ISSN:1598-4478
2233-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