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에 있어서 삭제(削蹄)가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기에 따른 두당 1일 유량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28.5±1.37 kg 및 29.0±0.54 kg, 101~200일의 경우 24.5±0.59 kg 및 25.6±0.60 kg, 201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biotechnology (Online) pp. 45 - 51
Main Authors 박수봉(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김현섭(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허태영(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안병석, 손준규(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이왕식, 기광석(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백광수, 박성재, 김재기, 이현준, 강석진, 서국현, 전병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31.03.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71-4639
2671-46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기에 따른 두당 1일 유량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28.5±1.37 kg 및 29.0±0.54 kg, 101~200일의 경우 24.5±0.59 kg 및 25.6±0.60 kg, 201일 이상의 경우 19.9 ±0.42 kg 및 19.4±0.48 kg으로 두당 1일 유량은 유기에 따라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05일 보정유량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삭제구가 각각 7,235±371 및 7,472±356 kg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유기에 따른 체세포수는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220.4±27.4 및 125.0 ±21.1×103 cells/ml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101~200일의 경우 167.8±28.2 및 147.8±18.2×103 cells/ml, 201일 이상의 경우 125.8±27.2 및 237.1±90.0×103 cells/ ml로 101일 이상에서는 유기에 따라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유기에 따른 유지방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3.86% 및 3.56%, 101 ~200일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01 % 및 3.76%, 201일 이상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29% 및 3.78%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단백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3.22% 및 3.03%, 101~200일의 경우 공히 3.21%, 201일 이상의 경우 3.50% 및 3.28%로 유단백도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당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76% 및 4.81%, 101~200일의 경우 4.84% 및 4.74%, 201일 이상의 경우 4.59% 및 4.50%로 유당은 전유기에 걸쳐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고형분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12.43% 및 12.36%, 101~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claw trimming on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in Holstein at different lactation stage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daily milk yield between control and claw trimming in early, mid and late lactating Holsteins. 2. Somatic cell count (SCC) was lower in early lactation and it was higher in late lactation when claws were trimmed in Holstein. However, claw trimming did not affect SCC during mid lactation in Holstein. 3. Milk fat, protein and total solids were decreased during late lactation in Holstein after claw trimming. However, milk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claw trimming in early and mid lactating Holstein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405.2006.21.1.011
ISSN:2671-4639
2671-4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