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추출물 식이공급이 무모생쥐의 표피보습 개선 및 유리아미노산 생성 관련 대사에 미치는 영향
Purpose: Ultraviolet (UV) irradiation decreases epidermal hydration, which is maintained by reduction of natural moisturizing factors (NMFs). Among various NMFs, free amino acids (AA) are major constituents generated by filaggrin degrad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49; no. 5; pp. 269 - 276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영양학회
2016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288-3886 2288-3959 |
Cover
| Summary: | Purpose: Ultraviolet (UV) irradiation decreases epidermal hydration, which is maintained by reduction of natural moisturizing factors (NMFs). Among various NMFs, free amino acids (AA) are major constituents generated by filaggrin degrad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dietary supplementation of green tea extract (GTE) in UV-irradiated mice can improve epidermal levels of hydration, filaggrin, free AAs, and peptidylarginine deiminase-3 (PAD3) expression (an enzyme involved in filaggrin degradation). Methods: Hairless mice were fed a diet of 1% GTE for 10 weeks in parallel with UV irradiation (group UV+1%GTE). As controls, hairless mice were fed a control diet in parallel with (group UV+) or without (group UV-) UV irradiation. Results: In group UV+, epidermal levels of hydration and filaggrin were lower than those in group UV-; these levels increased in group UV+1% GTE to levels similar to group UV-. Epidermal levels of PAD3 and major AAs of NMF, alanine, glycine and serine were similar in groups UV- and UV+, whereas these levels highly increased in group UV+1% GTE. Conclusion: Dietary GTE improves epidermal hydration by filaggrin generation and degradation into AAs.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를 병행하여 녹차 추출물의 식이공급을 10주간 공급한 무모생쥐 (UV+1%GTE군)의 표피 보습과 filaggrin 의 대사물질 및 관련 효소인 PAD3의 발현 및 함량 변화를 정상대조군 (UV-군) 및 자외선 조사군 (UV+군)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UV+군의 피부 보습은 UV-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UV+1%GTE군 의 피부 보습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UV-군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UV+군의 profilaggrin 함량은 UV-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ilaggrin의 함량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 에서 profilaggrin은 UV- 및 UV+에비해 현저히 높았고, filaggrin은 UV-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UV+군의 PAD3 효소 발현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UV-군에 비해 높았다. 자연보습인자의 주요 아미노산인 serine 및 glycine, alanine의 함량은 UV-군과 UV+군간 유사하였으나 UV+1%GTE군에서는 UV- 및 UV+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UV-군과 비교하여 UV+군의 피부 보습함량이 낮게 측정된 것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변화가 없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보습에 관여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인 표피 지질함량 분석과 함께 녹차추출물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 추출물 식이 공급은 (pro)filaggrin의 함량 및 PAD3의 발현이 높게 나타남에 의한 표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궁극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야기된 피부건조를 완화시켰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32740905234 |
| ISSN: | 2288-3886 2288-39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