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중요도 분석: 비즈니스 모델 혁신 관점에서

Although start-up is a key national strategy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reate employment,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This i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inability to provide timely and appropriate support to startups, which are in the early stages 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벤처창업연구 Vol. 17; no. 5; pp. 1 - 16
Main Authors 정문수(Jung, Mun-Su), 김은희(Kim, Eun-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7557
2671-95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Although start-up is a key national strategy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reate employment, the survival rate of start-ups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This i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inability to provide timely and appropriate support to startups, which are in the early stages of start-up, due to the unique limitations of existing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and investors. The relatively recent accelerator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ubject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rough professional incubation and investment.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on investment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survival and success of accelerators, and there is a lack of theoretical evidence. Accordingly, in previous studies, 12 investment determinants were derived from a static, strategic, and dynamic perspective as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based on a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This study subdivided the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into 21 and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factor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technique for domestic accelerator investment exper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p factors of importance of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were in the order of 'human resources', 'customer and market', 'intellectual resources', and 'entrepreneur's ability to realize opportunities'. It can be seen that the accelerator considers the core competencies of startups to implement solution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making startup investment decisio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accelerators are strategic to create a clear value proposition and differentiated market position based on the core competitiveness of startups, and that the core value delivery method prefers a market-oriented business model and recognizes entrepreneurs's innovation cap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realize a business model with limited resources in a rapidly changing market.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through demonstration as a follow-up study on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derived based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theory that reflects the nature, goals, and major activities of accelerator investment. In addition, it is of practical value as it contributes to revitalizing the domestic startup investment ecosystem by providing accelerators with theoretical grounds for investment decisions and specific information on detailed investment determinants. 창업은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고용을 창출하는 국가 핵심 전략임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의 생존율은 크게 개선되고 있지 않다. 이는 기존 창업지원기관과 투자자의 고유한 한계성으로 창업의 초기단계인 스타트업에게 적시에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중요한 원인이다.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액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에게 전문보육과 투자를 동시에 제공함으로 스타트업의 생존율을 크게 개선하여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액셀러레이터의 생존과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소수의 실증연구만 있을 뿐이며 이론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 관점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을 21개로 세분화하여 국내 액셀러레이터 투자전문가를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과정)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중요도의 상위요인은 '인적자원', '고객·시장', '지적자원', '창업가의 기회실현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 투자의사결정시 솔루션 구현을 위한 스타트업의 핵심역량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액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의 핵심 경쟁력에 기반 한 명확한 가치제안과 차별화된 시장 포지션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전략적이고, 핵심가치의 전달 방식은 시장 지향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선호하며, 급변하는 시장 속에서 한정된 자원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창업가의 혁신역량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 투자 대상이 되는 스타트업의 본질과 목표, 주요 활동을 잘 반영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이론에 근거해 도출한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액셀러레이터에게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세부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하며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스타트업이 투자유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안내함으로써 국내 스타트업 투자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함으로 실무적 가치가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32055759414
ISSN:1975-7557
2671-9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