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Real-Time Rendering Methods
Image production using three-dimensional (3D) programs undergoes a process called rendering to visualize 3D data. Because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costly, the reduction of rendering cost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roblem that requires resolution. This work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
Saved in:
Published in |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 27; no. 1; pp. 23 - 3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49X 2383-9945 |
Cover
Summary: | Image production using three-dimensional (3D) programs undergoes a process called rendering to visualize 3D data. Because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costly, the reduction of rendering cost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roblem that requires resolution. This work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3D image production pipeline and propose a method for reducing the production time by adopting a game engine for real-time rendering. In the experiment conducted in this study, rendering using Maya (a 3D production program) and Un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Unity enables rendering in real time; consequently, the rendering cost is reduced. Moreover, the quality of the rendered image is similar to that produced by Maya. The proposed technique involves reducing the render time and providing guidance through access to a real-time rendering engine.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방식의 영상 제작과정은 3D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렌더링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은 제작 시간과 작업비용의 부담이 커서 제작자로서는 렌더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렌더엔진인 게임엔진의 렌더링을 영상 제작에 접목해 렌더 시간을 줄여 기존의 제작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렌더링 실험을 위해 로봇과 실내 모델링을 3D 제작 프로그램인 마야(Maya)와 게임엔진인 유니티(Unity)로 렌더링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유니티는 실시간으로 렌더 되어 렌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렌더된 이미지의 퀄러티 또한 마야에서 렌더된 이미지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유니티의 렌더링을 마야와 비교해 분석해 봄으로써 기존의 제작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실시간렌더엔진에 접근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08258938851 |
ISSN: | 1598-849X 2383-99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