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성인의 밀키트 소비 실태와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al-kit consumption practices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nd analyzed the properties that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improvement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al-kits. Method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6; no. 3; pp. 315 - 329
Main Authors 김세은(Se-Eun Kim), 배현주(Hyun-Joo Ba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양학회 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3886
2288-395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al-kit consumption practices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nd analyzed the properties that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improvement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al-kits. Method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ver. 28.0) for χ2-tes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actor analysi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A). Results: Of the 249 subjects surveyed, 85.5% had some experience of purchasing meal-kits, with significantly more females than males (p < 0.01), significantly more married people than single people (p < 0.05), significantly more employed people than unemployed people (p < 0.05). Meal-kits were purchased most frequently for meals (60.6%), from discount stores or supermarkets (44.6%), and priced between 10,000 won and 20,000 won per person (46.9%).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meal-kits was 4.1 out of 5.0 points. The frequency of purchases was Korean soup dishes (69.5%), Korean main dishes (47.4%), and Korean street snacks (46.9%). Factor analysis of the meal-kit selection attributes revealed, 4 factors: 'quality of food,' 'packaging and diversity,' 'quality of meal-kit,' and 'convenience and price.' Compared to single-person households, multi-person households placed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on the 'quality of food,' 'packaging and diversity,' and 'quality of meal-kit.' The factor, 'packaging and divers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mportance evaluation scores for females (p < 0.01), married people (p < 0.05), and people in their 30s (p < 0.05) among meal-kit consumers. According to the ISA results, a critical aspect that meal-kit manufacturers or sellers should strengthen is 'price.' Conclusion: Meal-kit products will need to be developed for various purposes that offer high value for money that can satisfy the consumers' need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meal-kit consumers. 전국의 20-30대 성인남녀 249명을 대상으로 밀키트 소비 실태와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85.5%가 밀키트 구매 경험이 있었고, 밀키트 구매 경험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p < 0.01),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5), 직장인이 직장이 없는 경우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많았다. 밀키트는 주로 대형할인마트 (44.6%), 온라인 쇼핑몰 (33.3%)에서 식사용 (60.6%), 여행용 (18.3%), 야식용 (13.1%)으로 구매하였다. 밀키트 구매 이유는 재료 손질 및 조리가 간편해서 (89.2%), 여러 식재료를 한 번에 구매할 수 있어서 (60.1%), 요리를 잘 못해서 (27.7%)의 순이었고, 밀키트를 혼자 먹는 경우는 전체의 31.0%였으며 전체적인 만족도 (5점 척도)는 평균 4.11점이었다. 밀키트 중 구매 비율이 높은 제품은 한식 국물요리 (69.5%), 한식 주찬류 (47.4%), 분식류 (46.9%) 순이었고, 여자가 남자에 비해 분식류 (p < 0.01), 샐러드류 (p < 0.05), 동남아 음식 (p < 0.05)의 구매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서양식 육류요리의 구매 비율은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p < 0.05), 혼자 섭취하는 경우가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섭취하는 경우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높았고, 밀키트를 식사용으로 구매하는 경우는 20대가 30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밀키트 선택 속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식품의 품질', '포장과 다양성', '밀키트의 품질', '편리성과 가격'으로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밀키트의 품질'과 '편리성과 가격'은 중요도 평가 점수 평균이 4점 이상이었고 '식품의 품질'요인의 중요도는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포장과 다양성'요인의 중요도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p < 0.01),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5),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p < 0.05), 30-39세가 20-24세에 비해 (p < 0.05) 유의적으로 높았다. '밀키트의 품질'요인의 중요도는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p < 0.001), 다인 가구가 1인 가구에 비해 (p < 0.001), 30-39세와 25-29세가 20-24세에 비해 (p < 0.01) 유의적으로 높았다. 밀키트 선택속성에 대한 ISA 결과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된 항목은 '가격'이었다. 밀키트 이용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가성비가 좋은 다양한 용도의 밀키트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322047103817
ISSN:2288-3886
2288-3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