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해석을 통한 민수용 헬리콥터의 조류충돌 인증 요구도 검증기법에 대한 연구

The increase of bird strike requires to be amended more safely current airworthiness requirements for bird strike. The USA and Europe are considering the methodology to verify the bird strike requirements based o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anwhile, the aircraft airworthiness standards i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 13; no. 6; pp. 70 - 79
Main Authors 김동협(Dong-Hyeop Kim), 김상우(Sang-Woo Kim), 김현기(Hyun-Gi Kim), 김성찬(Sungchan Kim), 신복균(Bok Kyun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6300
2508-715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increase of bird strike requires to be amended more safely current airworthiness requirements for bird strike. The USA and Europe are considering the methodology to verify the bird strike requirements based o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anwhile, the aircraft airworthiness standards in Korea enac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based on those enacted by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This means that the verification methods using the FEA for the bird strike requirem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airworthiness standards in Korea. Our study proposes the methodology for bird strike simulation based on the FEA for the external auxiliary fuel tank assembly on the Surion helicopters and confirmed that the numerical outputs corresponded to the test results.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methodology and procedure based on the FEA are adopted not only in the bird strike requirements but in various aircraft certifications of civilian rotorcraft. 매년 증가하는 항공기 조류충돌 사고는 현행 항공기 조류충돌 인증 요구도의 보완을 요구한다.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조류충돌 요구도를 더욱 정밀하게 검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항공기 감항기준은 미국 연방항공청에서 제정한 감항기준에 준하여 작성되었다. 이는 국내 규정에서도 해석 기반의 조류충돌 요구도 검증 방안이 반영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의 경찰청 헬리콥터 외부 보조연료탱크 조립체를 대상으로 유한요소 해석에 기반한 조류충돌 분석기법을 제안하였고, 해석 결과는 시험 결과에 상응하였다. 이에 따라 수치해석 기반의 분석기법과 절차가 조류충돌 요구도 뿐만 아니라, 나아가 다른 감항요건의 입증에도 폭넓게 활용되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06461187267
ISSN:1976-6300
2508-7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