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의 내부 자원과 비즈니스모델 혁신성이 산업재산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ternal resources, capabilities,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of venture enterprises on industrial property performance, a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securing industrial property righ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v...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8; no. 1; pp. 237 - 25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Cover
Summary: |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ternal resources, capabilities,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of venture enterprises on industrial property performance, a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securing industrial property righ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venture companies. Venture company cap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intrinsic elements of a company (company's research resources) and creative elements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that implement them, and they were intended to show that they could lead to a company's potential competitiveness through innovation in business models. In order to verify this research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733 corporate companies among venture confirmation companies subject to the 2019 venture company precision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systematic research organ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were significant (+) in industrial property performance. However, in the final research model that applied both the rules of the business model's innovation variable,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were significant (-), and research organization × business model innov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 This means that venture companies' excellent resources and capabiliti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industrial property performance individually, but when applying the level of innovation in the actual business model, they must interact with the busines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pursue business model innovation that secures clear differentiators compared to competitors as well as strengthening the company's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secure industrial assets and innovation growth.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에 산업재산권의 확보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벤처기업의 내부 자원과 역량, 비즈니스모델 혁신 수준이 산업재산 성과에 영향을 파악하고자 접근하였다. 벤처기업 역량을 기업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요소(기업의 연구 자원)와 이를 구현해 내는 창발적 요소(사업화 역량)로 구분하고, 이들이 비즈니스모델의 혁신으로 기업의 잠재적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9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대상 벤처확인기업 중 1,733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벤처기업의 연구 자원, 사업화 역량은 산업재산 성과에 (+)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비즈니스모델의 혁신성의 조절변수를 모두 적용한 최종 연구모형에서는 사업화 역량, 비즈니스모델 혁신은 (-)로 유의하였으며, 연구 자원×비즈니스모델 혁신, 사업화 역량×비즈니스모델 혁신은 (+)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벤처기업의 우수한 자원과 역량은 개별적으로는 산업 재산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실제 비즈니스모델의 혁신 수준을 적용했을 때는 비즈니스모델과 상호 작용해야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사업화 역량과 비즈니스모델 혁신이 개별적으로만 작용할 경우 실제 사업화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산업재산권 확보 노력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벤처기업의 산업재산 확보와 혁신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의 우수한 내부 자원 및 역량 강화와 함께 비즈니스모델 구성요소 중 경쟁자 대비 분명한 차별화 요인을 확보하는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추구해야 함을 실증했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07468814587 |
ISSN: | 1975-7557 2671-9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