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적 유산의 오해: 조나단 에드워즈와 찰스 G. 피니의 자유 의지론

본 논문은 찰스 G. 피니가 조나단 에드워즈의 자유의지론을 계승하였다는 최근의 해석, 특히 앨런 C. 구엘조의 주장에 비판적으로 응답한다. 전통적으로 에드워즈와 피니는 신학적, 철학적 입장에 있어 불연속적인 인물로 이해되어 왔으며, 이는 피니가 칼빈주의의 핵심 교리들을 수정하고 부흥운동의 실천적 목적에 따라 신학을 재구성한 점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구엘조는 피니가 에드워즈의 “자연적 능력”과 “도덕적 무능력”개념을 수용함으로써 오히려 에드워즈의 신학을 정교화한 것이라 주장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 자유의지론을 먼저 검토한 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Yeogsa sinhag nonchong Vol. 46; pp. 137 - 166
Main Authors 김현관, Kim Hyun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0.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7593
2671-5783
DOI10.26427/JHT.46.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찰스 G. 피니가 조나단 에드워즈의 자유의지론을 계승하였다는 최근의 해석, 특히 앨런 C. 구엘조의 주장에 비판적으로 응답한다. 전통적으로 에드워즈와 피니는 신학적, 철학적 입장에 있어 불연속적인 인물로 이해되어 왔으며, 이는 피니가 칼빈주의의 핵심 교리들을 수정하고 부흥운동의 실천적 목적에 따라 신학을 재구성한 점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구엘조는 피니가 에드워즈의 “자연적 능력”과 “도덕적 무능력”개념을 수용함으로써 오히려 에드워즈의 신학을 정교화한 것이라 주장한다. 이에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 자유의지론을 먼저 검토한 후, 피니가 그 개념을 실천 신학의 틀 안에서 어떻게 변형하여 사용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양자 간의 연속성보다는 불연속성이 보다 명확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ngages with recent interpretations-particularly the argument of Allen C. Guelzo-that Charles G. Finney inherited and developed Jonathan Edwards’s theology of free will. Traditionally, Edwards and Finney have been viewed as theologically and philosophically discontinuous, as Finney significantly revised key doctrines of Calvinism and restructured theology to serve the practical goals of revivalism. However, Guelzo contends that Finney adopted Edwards’s concepts of “natural ability” and “moral inability,” thereby refining Edwards's theological framework. This study first examines Edwards’s doctrine of free will, then analyzes how Finney reappropriated and transformed it within the context of practical theology. The paper concludes that their theological divergence is more significant than any superficial continuity, emphasizing the essential discontinuity between the two figures.
Bibliography:Korea Evangelical Historical-Theological Society
ISSN:1229-7593
2671-5783
DOI:10.26427/JHT.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