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 철학에서 증명의 한계와 언어적 소통의 한계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의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증명을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제시하는 하나의 소통 방식으로서 이해하고 그 한계를 면밀히 탐구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증명이 갖는 일부 한계가 다른 언어적 소통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증명의 한계와 언어적 소통의 한계를 구분하는 것이다. 논의는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1장에서는 증명과 언어적 소통의 정의를 제시하고 증명을 언어적 소통의 하위 개념으로 분류한다. 2장부터 5장까지는 증명이 갖는 한계를 하나씩 열거한다. 2장과 3장에서는 증명이 서로 구분되는 두 이유에서 불충...
Saved in:
Published in | 칸트연구 Vol. 55; pp. 63 - 9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칸트학회
15.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372 2734-0511 |
DOI | 10.32333/KS.55.1.3 |
Cover
Summary: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의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증명을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제시하는 하나의 소통 방식으로서 이해하고 그 한계를 면밀히 탐구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증명이 갖는 일부 한계가 다른 언어적 소통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증명의 한계와 언어적 소통의 한계를 구분하는 것이다.
논의는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1장에서는 증명과 언어적 소통의 정의를 제시하고 증명을 언어적 소통의 하위 개념으로 분류한다. 2장부터 5장까지는 증명이 갖는 한계를 하나씩 열거한다. 2장과 3장에서는 증명이 서로 구분되는 두 이유에서 불충분한 것일 수 있음을 보인다. 4장에서는 증명이 언제나 미완결된 것일 수밖에 없음을 보인다. 5장에서는 증명이 특정한 느낌이나 이데아를 전달할 수 없음을 보인다. 6장에서는 시와 철학을 언어적 소통의 하위 개념으로 분류하고 시와 철학이 증명을 통해서는 전달될 수 없는 것을 전달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증명의 한계와 언어적 소통의 한계를 구분한다.
This study has 2 purposes. First, to understand proof as a form of communication in Schopenhauer’s philosophy and to explore its limitations. Second, to distinguish between the limits of proof and of linguistic communication by showing that poetry and philosophy in Schopenhauer’s philosophy are linguistic communications that can overcome the limits of proof.
The discussion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Chapter 1 presents the definitions of proof and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classifies proof as a sub-concept of linguistic communication. Chapters 2 through 5 systematically list the limitations of proof. Chapters 2 and 3, respectively, discuss that proof is often insufficient in 2 different ways. Chapter 4 shows that proof is always incomplete. Chapter 5 shows that proof cannot convey a specific feeling or Platonic Idea. Chapter 6 distinguishes the limits of proof from the limits of linguistic communication by classifying poetry and philosophy as sub-concepts of linguistic communication showing that poetry and philosophy can convey something that cannot be conveyed through proof. |
---|---|
Bibliography: | Koreanische Kant-Gesellschaft |
ISSN: | 1598-9372 2734-0511 |
DOI: | 10.32333/KS.5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