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철학 내 意·念의 철학상담적 의미와 적용 방법 연구
본 연구는 논자가 율곡철학 내 意·念의 철학상담적 의미를 검토하고 이를 적용하여 철학상담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논자는 율곡이 『성학집요(聖學輯要)』에서 意의 하나인 念을 구분하고 그 가운데 浮念의 수양 방법을 달리한 점을 주목하였다. 意는 도덕 판단과 도덕 결단과 같은 의식 작용이므로 오늘날 사회 도덕적 문제와 관련되고, 念은 집중력 저하와 같은 현대인의 문제와 연관된다고 보았다. 또한 율곡철학 내 意·念 수양 방법 가운데 성의와 정심은 각각 철학상담적 의미를 지니는데, 誠意는 도덕적 판단에 따라 생기는 현대인의 문제를 해결할...
Saved in:
Published in | Yulgok sasang yŏn'gu Vol. 50; pp. 97 - 12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율곡연구원
31.12.2022
(사)율곡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2.50..9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논자가 율곡철학 내 意·念의 철학상담적 의미를 검토하고 이를 적용하여 철학상담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논자는 율곡이 『성학집요(聖學輯要)』에서 意의 하나인 念을 구분하고 그 가운데 浮念의 수양 방법을 달리한 점을 주목하였다. 意는 도덕 판단과 도덕 결단과 같은 의식 작용이므로 오늘날 사회 도덕적 문제와 관련되고, 念은 집중력 저하와 같은 현대인의 문제와 연관된다고 보았다. 또한 율곡철학 내 意·念 수양 방법 가운데 성의와 정심은 각각 철학상담적 의미를 지니는데, 誠意는 도덕적 판단에 따라 생기는 현대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론과 실천의 방법이며, 도덕적 존재로서 자기를 이해하고 도덕 판단으로 자기 변화에 이를 수 있도록 돕는다. 正心은 浮念의 상황에서 사태를 명료하게 파악하고 자기 삶의 자세를 편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도덕 주체로의 본성을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율곡 의념 철학상담’은 자기 이해와 자기 변화 그리고 자기 초월이라는 측면에서 철학상담의 과정에 부합하고, 율곡의 『격몽요결』, 『성학집요』등 텍스트를 철학적 자산으로 삼고 있다. 논자는 율곡 의념 철학상담을 통하여 자기의 意·念을 이해하고 이를 誠意·正心의 과정을 통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보았으며 현대인의 마약 중독과 집중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논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율곡의 철학적 자산이 고전으로 머물지 않고 지금 여기에서도 여전히 삶에 유용하며 현대의 철학상담과 소통을 통하여 그 외연을 확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reviewed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meaning of Eui(意)·念 (Yeom) in Yulgok philosophy and applied it to suggest a metho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 noted that Yulgok distinguished 念(Yeom), one of Eui(意), in 『SonghakJibyo(聖學輯要)』, and among them, the method of cultivating Bunyeon(浮念) was different. In addition, since Eui(意) is a conscious action such as moral judgment and moral determination, it is related to today's social and moral problems, and 念(Yeom) is related to modern people's problems such as reduced concentration. Therefore, among the methods of cultivating the meaning and ideology of Yulgok philosophy, Sincere Thought(誠意) and Recirfying Heart(正心) have philosophical counseling meanings, respectively. Sincere Thought(誠意) is a method of theory and pract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people caused by moral judgment, and helps them understand themselves as moral beings and reach self-change through moral judgment. In the context of Bunyeon(浮念), Recirfying Heart(正心)은 helps to grasp the situation clearly and change the attitude of one's life comfortably. I envisioned 'Yulgok Eui(意)·念(Yeom)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meaning of Eui(意)·念(Yeom) in Yulgok philosophy. And I presented the subject suitable for this counseling and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e counseling. Yulgok Eui (意)·念(Yeom)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uses text in Yulgok philosophy as a philosophical asset, is in line with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terms of self-understanding, self-change, and self-transcendence. In this paper, I showed that Yulgok's philosophical assets are now useful for the lives of Koreans here, and that it can be expan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
---|---|
Bibliography: | Yul Gok Society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2.50..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