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에 따른 지식집약사업서비스업의 입지 특성과 시공간적 변화
본 논문의 목적은 지식기반 유형에 따른 지식집약사업서비스업(KIBS)의 입지 특성과 시공간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IBS 업종을 신기술 기반(T-KIBS) 및 전통적 전문서비스(P-KIBS), 지식기반 유형(분석·종합·상징·준수)을 교차하여 6개 세부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고용비율과 입지계수(LQ)를 지표로 사용하고, Global Moran’s I 와 Getis-Ord G i * 로 전역·국지적 공간구조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KIBS는 전국적 확산과 국지적 집중이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전반적 경향 내에서...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8; no. 3; pp. 273 - 289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경제지리학회
30.09.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8968 2713-9115 |
| DOI | 10.23841/egsk.2025.28.3.273 |
Cover
| Summary: | 본 논문의 목적은 지식기반 유형에 따른 지식집약사업서비스업(KIBS)의 입지 특성과 시공간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IBS 업종을 신기술 기반(T-KIBS) 및 전통적 전문서비스(P-KIBS), 지식기반 유형(분석·종합·상징·준수)을 교차하여 6개 세부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고용비율과 입지계수(LQ)를 지표로 사용하고, Global Moran’s I 와 Getis-Ord G i * 로 전역·국지적 공간구조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KIBS는 전국적 확산과 국지적 집중이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전반적 경향 내에서 세부유형별로 상이한 입지 패턴을 보였다. 지식기반(분석·종합·상징·준수) 6유형 분석에서는 상징적 유형의 대면·암묵지 의존에 따른 대도시 집중, P-준수의 광역시 거점 유지, T-분석의 대학·연구기관 연계에 기반한 비수도권 신규 집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기반별 특성을 반영한 권역·유형 맞춤형 육성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patiotemporal dynamics of Knowledge-Intensive Business Services (KIBS) in Korea, focusing on variations across different knowledge bases. KIBS were categorized into six subtypes by combining technological (T-KIBS) and professional services (P-KIBS) with four knowledge bases: analytical, synthetic, symbolic, and compliance. Using employment share and location quotient (LQ) as indicators, the study applies Global Moran’s I and Getis-Ord G i * statistics to examine global and local spatial structures. The findings reveal that KIBS have undergone simultaneous nationwide diffusion and localized concentration, with heterogeneous patterns across subtypes. Symbolic KIBS remain concentrated in metropolitan areas due to face-to-face interaction and tacit knowledge reliance; P-compliance services maintain their presence in major regional hubs; and T-analytical services show emerging clusters in non-capital regions through linkages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se results suggest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differentiated region- and type-specific strategies that align with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knowledge bases. |
|---|---|
| Bibliography: |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ISSN: | 1226-8968 2713-9115 |
| DOI: | 10.23841/egsk.2025.28.3.2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