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조직혁신의 영향요인: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윤석열 정부로 들어와서 공공기관 혁신에 대한 압력이 강하다. 많은 공공기관에서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혁신활동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혁신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거나 환경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조직일수록, 계층제적 성격의 Top-down 방식의 의사결정 구조가 아닌 권한이양과 권력분산을 통한 Bottom-up 방식의 의사결정구조를 취하는 조직일수록 혁신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둘째, 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공공정책연구 Vol. 41; no. 3; pp. 1 - 27
Main Authors 황창호, Changho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31.12.2024
지방자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41.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윤석열 정부로 들어와서 공공기관 혁신에 대한 압력이 강하다. 많은 공공기관에서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혁신활동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혁신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거나 환경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조직일수록, 계층제적 성격의 Top-down 방식의 의사결정 구조가 아닌 권한이양과 권력분산을 통한 Bottom-up 방식의 의사결정구조를 취하는 조직일수록 혁신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둘째, 부서간 협업을 위한 다양한 제도가 마련된 조직일수록, 조직구성원들간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조직일수록 혁신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능통합, 정원감축, 비용절감 등의 공공기관 혁신에 대한 요구가 거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직의 효율성 제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조직혁신의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organizational innov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re agile and horizontal the organization, the more active organizational innovation occurred. Second, the better the collabor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the more active the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the more active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a situation where interest in innovation is growing in the public sector.
Bibliography: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4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