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수출금융 활성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 연구는 한국 청정에너지 산업, 특히 재생에너지와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녹색수출금융 활성화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문헌조사 후 2024년 6월~7월까지 2개월간 총 20개 기관(12개 기업, 2개 민간금융기관, 3개 공적금융기관, 3개 공공기관)의 녹색수출금융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한국 청정에너지 산업은 원자재 공급국 및 수출 상대국과의 협상력에서 약세를 보이며, 해외시장 진출 시 해당 국가의 정책변화와 치열한 경쟁이 주요 도...
Saved in:
Published in | 환경정책 Vol. 33; no. 2; pp. 207 - 245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환경연구원
30.06.2025
한국환경정책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35X 2714-0601 |
DOI | 10.15301/jepa.2025.33.2.207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한국 청정에너지 산업, 특히 재생에너지와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녹색수출금융 활성화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문헌조사 후 2024년 6월~7월까지 2개월간 총 20개 기관(12개 기업, 2개 민간금융기관, 3개 공적금융기관, 3개 공공기관)의 녹색수출금융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한국 청정에너지 산업은 원자재 공급국 및 수출 상대국과의 협상력에서 약세를 보이며, 해외시장 진출 시 해당 국가의 정책변화와 치열한 경쟁이 주요 도전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면접에서는 녹색산업 수익성 확보의 어려움과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녹색수출금융의 가장 큰 장애물로 지목되었으며 정권 변화에 따른 정책 일관성 부족과 녹색수출금융 개념의 불명확성, 낮은 민간 투자 참여율 등이 한계점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녹색수출금융 전담기관 설립, 수익성 담보를 위한 사회성과연계채권(SIB) 모델 도입,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한 리스크 분담 체계 도입, 녹색산업 금융상품의 차별화를 녹색수출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asures to promote green export finance to enhance the global export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s clean energy industry, particularly in the renewable energy and battery sectors.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green export finance representatives from a total of 20 institutions (12 companies, 2 private financial institutions, 3 public financial institutions, and 3 public organizations) over two months from June to July 2024.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South Korea's clean energy industry is at a disadvantage in terms of bargaining power with raw material suppliers and export destination countries. Additionally, policy changes in target markets and intense competition were identified as major challenges in overseas market expansion. In-depth interviews highlighted that difficulties in securing profitability in the green industry and uncertainti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re the biggest obstacles to green export finance. Furthermore, the lack of policy consistency due to government changes, the ambiguity of the green export finance concept, and low private investment participation were identified as key limit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green export finance institution, the introduction of a Social Impact Bond (SIB) model to ensure profitability, the implementation of a risk-sharing mechanism to encourage private investment, and the differentiation of financial products in the green industry as measures to promote green export finance. |
---|---|
Bibliography: |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ISSN: | 1598-835X 2714-0601 |
DOI: | 10.15301/jepa.2025.33.2.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