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발행규제를 위한 법률 개정의 제안-유럽의 암호자산시장규정(MiCA)를 중심으로

최근 가상자산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발행 및 유통 과정에서의 정보 비대칭, 투자자 보호의 미비, 규제 공백 등의 문제가 주요 정책 및 입법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에 대응하여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제정하였으나, 동 법은 주로 불공정거래 규제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상자산 발행 단계에 대한 명확한 규제체계는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발행인의 정의, 백서 작성 및 공시의무, 공모 및 상장에 대한 규제요건 등 핵심 제도에 있어 법적 공백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급결제학회지 Vol. 17; no. 1; pp. 331 - 365
Main Authors 원대성, Won Daes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한국지급결제학회 30.06.2025
한국지급결제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9253
2671-8677
DOI10.22898/kpsakr.2025.17.1.3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가상자산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발행 및 유통 과정에서의 정보 비대칭, 투자자 보호의 미비, 규제 공백 등의 문제가 주요 정책 및 입법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에 대응하여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제정하였으나, 동 법은 주로 불공정거래 규제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상자산 발행 단계에 대한 명확한 규제체계는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발행인의 정의, 백서 작성 및 공시의무, 공모 및 상장에 대한 규제요건 등 핵심 제도에 있어 법적 공백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지적하고, 유럽연합이 2024년부터 시행 중인 MiCA(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의 규제 체계를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가상자산 발행 규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MiCA는 가상자산의 공모 및 상장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수범대상을 설정하며, 정보 공시의 핵심 수단으로서 암호자산 백서의 작성·통지·공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발행인이 식별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공모 또는 상장을 주도하는 자에게 책임과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 본 논문은 MiCA의 규율체계를 바탕으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개정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한다. 첫째, 공모 및 상장 중심의 규제 구조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정보 비대칭 해소를 위한 백서 중심의 공시의무를 법제화하고, 작성·통지·공표 절차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발행인이 존재하지 않는 가상자산에 대해서도 공모 또는 상장을 주도하는 자에게 민사책임과 사후적 감독권한의 대상이 되는 규제 체계를 설계해야 한다. 넷째, 규제의 비례성 원칙에 따라 소규모 공모, 전문투자자 대상 발행, 유틸리티토큰 등에 대해서는 예외나 특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국내 가상자산 규제체계가 실효적이고 지속가능한 구조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MiCA의 규제 구조와 입법 취지를 정밀히 분석하고 이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중심에는 공모·상장 중심의 발행 규제, 백서 중심의 정보공시 의무, 그리고 사후적·비례적 감독 체계가 자리잡아야 하며, 이는 향후 투자자 보호와 시장 신뢰 제고, 국제적 규제 조화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crypto-asset market in recent years, issues such as information asymmetry, lack of investor protection, and regulatory gaps in the issuance and distribution processes have emerged as key challenges for public policy and legislation. In response,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rtual Asset Users” (hereinafter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which primarily focuses on regulating unfair trading practices. However, the Act does not yet establish a clear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issuance stage of crypto-assets. In particular, there are significant legal voids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an issuer, the obligation to prepare and disclose white papers, and the regulatory requirements for public offerings and listings. This paper identifies these legislative limitations and provides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 (MiCA), which took effect in the European Union in 2024. MiCA defines regulatory obligations by focusing on public offerings and listings rather than the formal concept of “issuance,” and mandates the preparation, notification, and publication of a crypto-asset white paper as the primary mechanism for disclosure. Importantly, even in cases where no issuer exists or the issuer cannot be identified, MiCA assigns leg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to the parties initiating a public offering or listing, thereby enhancing regulatory effectiveness. Based on the MiCA framework,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reform directions for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in Korea. First, the regulatory scope should be structured around public offerings and listings, rather than a rigid definition of issuance. Second, a white paper-based disclosure regime should be introduced to alleviate information asymmetry, including clearly defined procedures for preparation, notification, and publication. Third, even in the absence of an identifiable issuer, those who conduct public offerings or listings should be subject to civil liability and post-offering supervisory measures. Fourth,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exceptions or special rules should be established for small-scale offerings, offerings to qualified investors, and utility tokens. In conclusion, for Korea’s crypto-asset regulatory framework to be effective and sustainable,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MiCA’s structure and legislative intent and adapt them to the Korean legal environment. At the core of this approach must be a regulatory model centered on public offerings and listings, a white paper-based disclosure system, and proportionate post-hoc oversight. Such a model can serve as a balanced legislative solution that respects technological innovation while ensuring investor protection, enhancing market trust, and aligning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ibliography:KPSA(Korean Payment & Settlement Association)
ISSN:1976-9253
2671-8677
DOI:10.22898/kpsakr.2025.17.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