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그리고 적응방식에 대한 질적 연구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 사회의 정착과 작업장의 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편견과 차별을 상징 폭력(symbolic violence)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외국인 노동자가 편견과 차별을 어떻게 간파하고 대응하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상징폭력의 어떤 요소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2명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심층면접(IDI) 및 집단초점면접(FGI)을 진행하고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NVivo14프로그램을 활용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 노동자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공공정책연구 Vol. 42; no. 1; pp. 215 - 239
Main Authors 정혜민, Hyemin Jeong, 이윤영, Younyou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30.04.2025
지방자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42.1.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 사회의 정착과 작업장의 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편견과 차별을 상징 폭력(symbolic violence)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외국인 노동자가 편견과 차별을 어떻게 간파하고 대응하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상징폭력의 어떤 요소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2명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심층면접(IDI) 및 집단초점면접(FGI)을 진행하고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NVivo14프로그램을 활용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 노동자가 정착 과정에서 겪는 차별은 한국이 단일민족이라는 국가 배경, 급성장한 경제 상황에서 생겨난 인종의 위계화, 나이문화(age culture)에서 비롯된 상명하복의 문화와 연관되고 편견은 외국인을 위협적인 존재로 보는 시각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차별과 편견 속에서 외국인 노동자는 한국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스스로 이를 합리화하거나 관련 기관에 신고하는 등 적극적 대응을 하며 능동적, 주체적으로 행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faced by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their processes of social settlement and workplace adapt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symbolic violence. It investigates how migrant workers perceive, internalize, and respond to such forms of invisible and systemic oppression, and examines which aspects of symbolic violence are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DI)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12 migrant workers. A case study approach was employed,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Vivo14. The findings reveal that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 workers is deeply rooted in Korea's national identity as a homogeneous society, a racial hierarchy shaped by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age-based hierarchical cultural norms. Prejudice is often fueled by a perception of foreigners as threats to social cohe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structural and symbolic dimensions of discrimination, and emphasizes the resilience and adaptive strategies employed by migrant workers within a complex sociocultural landscape.
Bibliography: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ISSN:2384-0439
2671-8472
DOI:10.33471/ILA.4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