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섬유화 평가를 위한 비침습적 영상검사: 순간 탄성측정법

만성간질환 환자의 치료 방침의 결정 및 예후 예측을 위해 간섬유화의 정확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며, 순간 탄성측정법은 비침습적으로 간경직도를 측정하여 간섬유화를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영상 검사이다. 또한, 순간 탄성측정법은 만성 간질환에서 간섬유화 진단에 있어서 우수한 진단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순간 탄성측정법을 이용한 간경직도 측정 시에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임상 상황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종합한 전문가의 판단에 의해 결과가 해석되어야 한다. Liver fibrosis refers to the formatio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84; no. 5; pp. 201 - 205
Main Authors 김미나, Mi Na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학회 30.11.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24.1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만성간질환 환자의 치료 방침의 결정 및 예후 예측을 위해 간섬유화의 정확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며, 순간 탄성측정법은 비침습적으로 간경직도를 측정하여 간섬유화를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영상 검사이다. 또한, 순간 탄성측정법은 만성 간질환에서 간섬유화 진단에 있어서 우수한 진단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순간 탄성측정법을 이용한 간경직도 측정 시에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임상 상황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종합한 전문가의 판단에 의해 결과가 해석되어야 한다. Liver fibrosis refers to the formation of scar tissue in the liver when inflammation persists over a long period. Assessing liver fibrosis is crucial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hronic liver disease and managing patients with these conditions. Although a liver biopsy remains the gold standard for assessing liver fibrosis, it is limited by its invasive nature. Consequently,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non-invasive methods for evaluating liver fibrosis, including imaging techniques and serum biomarkers. Vibration-controlled transient elastography (VCTE), a representative non-invasive imaging technique, has been used widely for liver fibrosis assessment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3. This paper discusses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measuremen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e considerations for interpreting VCTE based on the 2024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Non-invasive Tests to Assess Liver Fibrosis in Chronic Liver Disease. In addition, the diagnostic utility of VCTE in chronic viral hepatitis is reviewed. (Korean J Gastroenterol 2024;84:201-205)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ISSN:1598-9992
2233-6869
DOI:10.4166/kjg.202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