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 [호두까기 인형]의 재미요소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클래식 작품인 <호두까기 인형>을 대상으로 그 작품 속에 들어있는 재미요소와 재미의 유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 된 ‘재미’와 ‘호두까기인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발레작품 ‘호두까기 인형’의 작품공연을 관람한 후, 그 후 부족한 부분은 비디오를 통해 재 관람하고, 인터넷이나 SNS등을 통해 관객들이 느끼는 반응 등을 살펴 본 후 ‘재미’의 본질을 바탕으로 <호두까기 인형>의 재미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서 재미를 구성하는 요소는 김용익...
        Saved in:
      
    
          | Published in | 국제문화예술 Vol. 6; no. 1; pp. 91 - 104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예술학회
    
        30.03.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733-6654 2765-6985  | 
| DOI | 10.46506/jica.2025.6.1.091 | 
Cover
|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클래식 작품인 <호두까기 인형>을 대상으로 그 작품 속에 들어있는 재미요소와 재미의 유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연구 된 ‘재미’와 ‘호두까기인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발레작품 ‘호두까기 인형’의 작품공연을 관람한 후, 그 후 부족한 부분은 비디오를 통해 재 관람하고, 인터넷이나 SNS등을 통해 관객들이 느끼는 반응 등을 살펴 본 후 ‘재미’의 본질을 바탕으로 <호두까기 인형>의 재미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서 재미를 구성하는 요소는 김용익(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재미요소의 유형분류는 하주일, 김경수(2014)의 연구를 바탕으로 결과를 추론하였다. 연구결과: 재미요소는 첫째, 도전과 성취이다. 둘째, <호두까기 인형>에서는 눈의 나라와 설탕나라 장면에서 참여도와 몰입을 통해 재미를 준다. 셋째, <호두까기 인형>에서 크리스마스 이브 장면은 관객이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일상적인 현실이 마법적이고 환상적인 세계로 변화함으로써 예상을 뛰어넘는 전개가 현실과 차이를 만듦으로써 관객들은 재미를 느끼게 된다. 넷째, <호두까기 인형>에 나타나는 주인공과 출연진들의 감정적 반응은 춤을 이해하고 재미를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섯째, <호두까기 인형>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인 상호작용 역시 재미를 주는 요소이고 여섯째, <호두까기 인형>에서 예측 가능성과 불확실성은 작품의 재미를 더하고 있다. 그리고 <호두까기 인형>의 재미 유형분류를 보면 상상적 재미요소로 인형의 변화, 동화 같은 세계, 사탕요정과 춤, 전투장면이 있었으며 도전적 재미요소로 정교한 발레 테크닉, 무대의 복잡성, 다양한 춤 스타일, 극적인 표현, 파트너십과의 협력이 있었다. 감각적 재미요소로는 화려한 무대장치와 의상, 다양한 춤 스타일, 차이콥스키 음악, 조명 효과, 감정적 표현과 춤의 미학, 감각적 감동의 결합 등이 있었으며 사회적 재미요소로 가족과 공동체의 가치, 어린이의 상상력과 사회적 성장, 고전적 사회 규범의 재현, 여성성과 역할,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배경, 문화적 전통과 현대의 만남 등이 있었다. 결론: <호두까기 인형>은 현실과 마법의 경계가 흐려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어 신비롭고 환상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무용수들의 뛰어난 테크닉과 표현력, 따뜻한 이야기와 감정선, 독특한 캐릭터들, 상상력을 자극하는 무대 디자인, 아름다운 음악 등의 재미 요소는 관객들이 매년 <호두까기인형>을 기다리게 만드는 요인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fun and types of fun contained in the traditional classical work, The Nutcracker. Methods: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fun’ and ‘The Nutcracker’ as theoretical background and watching the performance of the ballet ‘The Nutcracker’, the parts that were lacking were rewatched through video, and the reactions felt by the audience through the Internet or SNS were examined, and the fun factors of < The Nutcracker > were analyzed based on the essence of ‘fun’. In this analysis,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fun were inferred based on the study of Kim Yong-ik (2013), and the classification of fun elements was inferred based on the study of Ha Ju-il and Kim Gyeong-su (2014). Result: The fun elements are first, challenge and achievement. Second, participation and immersion. Third, unexpected developments and differences from reality. Fourth, emotional responses of the main characters and cast in < The Nutcracker >. Fifth, social interactions in < The Nutcracker >. Sixth, predictability and uncertainty. And when looking at the fun types of < The Nutcracker >, the imaginative fun elements include the doll’s transformation, fairytale-like world, the candy fairy and dance, and battle scenes. The challenging fun elements include elaborate technical movements, stage complexity, various dance styles, dramatic expressions, and collaboration with partnerships. The sensory fun elements include splendid stage settings and costumes, various dance styles, Tchaikovsky’s music, lighting effects,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aesthetics of dance, and the combination of sensory impressions. The social fun elements include the values of family and community, children’s imagination and social growth, reproduction of classical social norms, femininity and roles, social status and economic background, and the meeting of cultural tradition and modernity. Conclusion: < The Nutcracker > contains a story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magic are blurred, providing a mysterious and fantastic experience. The excellent technique and expressiveness of the dancers, the warm story and emotional lines, the unique characters, the stage design that stimulates the imagination, and the captivating music are the fun elements that make the audience look forward to < The Nutcracker > every year. | 
|---|---|
| Bibliography: | 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https://doi.org/10.46506/jica.2025.6.1.091  | 
| ISSN: | 2733-6654 2765-6985  | 
| DOI: | 10.46506/jica.2025.6.1.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