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전(前)비판기 철학에서 제1근거의 개념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 전(前)비판기 철학에서 제1근거의 개념을 선명하게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비판기 철학의 문제의식과 주요개념의 토대가 전비판기 철학에서 이미 형성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비판기 철학은 전비판기 철학을 구체화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에 대한 고찰은 함께 수행되며, 그러한 이성의 독단적 인식에 대한 비판은 이미 그 방향성을 정립하고 있다. 칸트는 전비판기 『새로운 해명』에서 신의 개념으로부터 신의 현존을 그 자체로 입증하는 존재론적 증명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자신의 존재론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칸트연구 Vol. 55; pp. 29 - 62
Main Authors 손홍국, Son Hong-g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칸트학회 15.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372
2734-0511
DOI10.32333/KS.55.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 전(前)비판기 철학에서 제1근거의 개념을 선명하게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비판기 철학의 문제의식과 주요개념의 토대가 전비판기 철학에서 이미 형성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비판기 철학은 전비판기 철학을 구체화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에 대한 고찰은 함께 수행되며, 그러한 이성의 독단적 인식에 대한 비판은 이미 그 방향성을 정립하고 있다. 칸트는 전비판기 『새로운 해명』에서 신의 개념으로부터 신의 현존을 그 자체로 입증하는 존재론적 증명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자신의 존재론적 증명을 제시한다. 그것은 신의 개념을 현존 자체 혹은 그것의 일부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성 자체에 포함된 현존’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그러한 ‘가능성을 통한 신 존재 증명’과 함께, 다른 한편으로 인간 의지의 자발성을 정립한다. 제1근거에 관한 이러한 관점은 「수상논문」에서 조정되면서 구체화된다. 여기에서 칸트는 인간의 자발적 도덕성을 두 가지 제1근거, 즉 형식적 근거로서 도덕적 완전성과 질료적 근거로서 신의 의지로 선명하게 구별한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두 근거의 관계 문제에 관해, 칸트는 질료적 근거를 형식적 근거에 속한 것으로 파악하며, 고찰을 마무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first ground in Kant’s pre-critical philosophy and confirms that the foundation of critical philosophy’s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its main concepts are formed in pre-critical philosophy. Critical philosophy is a process of concretizing pre-critical philosophy. The examination of theoretical reason and practical reason are simultaneously examined, and the criticism of the dogmatic knowledge of reason has already established its direction. In his pre-critical philosophy, nova dilucidatio, Kant criticizes the ontological proof that establishes the existence of God based on the concept of God. He presents a new ontological proof, no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God as existence itself or as a part of it, but to understand it as “existence included in possibility itself.” Furthermore, along with such “proof of the existence of God through possibility,” he establishes the spontaneity of human will. This view on the first ground is further specified in the Preisschrift’. Here, Kant explicitly distinguishes between two first grounds of human voluntary morality: moral perfection as a formal ground and the will of God as a material ground. Next, regarding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nds, Kant considers the material ground as belonging to the formal ground.
Bibliography:Koreanische Kant-Gesellschaft
ISSN:1598-9372
2734-0511
DOI:10.32333/KS.5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