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1인가구의 디지털 활용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이 연구는 고령 1인가구의 디지털 활용역량이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21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에서 55세 이상 고령자중 단독가구로 응답한 339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세 변수 간의 관계 파악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디지털 활용역량이 높을수록 결속형 사회자본, 연결형 사회자본, 삶의 만족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결속형 사회자본과 연결형 사회자본은 삶의 만족과 각각 유의미한 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공공정책연구 Vol. 40; no. 2; pp. 1 - 24
Main Authors 김주리, Juri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31.08.2023
지방자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439
2671-847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고령 1인가구의 디지털 활용역량이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21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에서 55세 이상 고령자중 단독가구로 응답한 339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세 변수 간의 관계 파악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디지털 활용역량이 높을수록 결속형 사회자본, 연결형 사회자본, 삶의 만족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결속형 사회자본과 연결형 사회자본은 삶의 만족과 각각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활용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결속형과 연결형 사회적 자본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령자 대상 정보화 교육의 필요성과 이를 통해 기대되는 사회적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digital utilisation capacity,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single households. From the raw data of the 2021 Digital Divide Survey, 339 people aged 55 or older who responded as a single household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sample. For the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applied, and the main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utilisation capacity directly increased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eac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Finally,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confirmed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gital utilisation capacity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mphasised that programmes of informatis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needs to be strengthened, by which can bring about beneficial social effects.
Bibliography:Institute for Local Goverment, Dong-Eui University
ISSN:2384-0439
2671-8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