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이후 한국의 지역학 연구 동향 : 지식생산기제로서의 학술지 네트워크 분석과 LDA 분석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국내 지역학의 지식생산기제와 연구 동향을 분석했다. 연구방법은 네트워크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했으며 연구대상은 지식생산기제로서 학술지이다. 먼저 KCI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광의의 지역학에 해당하는 학술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 학술지의 연구현황, 지역학 지식의 생산주체, 학문 분야별 구성을 확인했다. 학술지 및 게재논문의 지역별 현황에서는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환태평양 지역학 관련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학술지의 생산주체에서는 학회 및 연구회와 대학부속연구원/센터/기...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 , 7(3) pp. 5 - 3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글로벌지역학연구소
30.09.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0305 2586-3797 |
DOI | 10.31720/JGA.7.3.1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국내 지역학의 지식생산기제와 연구 동향을 분석했다. 연구방법은 네트워크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했으며 연구대상은 지식생산기제로서 학술지이다.
먼저 KCI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광의의 지역학에 해당하는 학술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 학술지의 연구현황, 지역학 지식의 생산주체, 학문 분야별 구성을 확인했다. 학술지 및 게재논문의 지역별 현황에서는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환태평양 지역학 관련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학술지의 생산주체에서는 학회 및 연구회와 대학부속연구원/센터/기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학문 분야에서는 인문학적 접근의 비중이 높았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동아시아 지역과 사회과학 개념과 연관된 키워드가 주요했다. 마지막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지역학의 주요 토픽 및 특성을 확인했다. 토픽 일관성(coherence) 분석을 통해 최적의 토픽 수가 6개라는 것을 확인했으며, 토픽의 특성을 다각도에서 분석하기 위해 람다( λ)가 0 또는 1인 경우 모두를 분석했다. 토픽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지역학이 ‘인문/예술 토픽’, ‘국제경제/무역 토픽’, ‘정치외교/지정학 토픽’, ‘중남미/라틴/기타 토픽’, ‘사회과학 일반 토픽’, ‘언어학/언어교육 토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논의에서는 국내 지역학 연구가 동아시아 지역, 특히 환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 분과 학문 분야의 강한 영향 아래에서 인문학 기반 지역학의 비중이 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지역학의 발전 방향으로 글로벌리티의 변동, 주제에 따른 비교지역연구 및 메가지역 연구 등 지역학 3.0으로서 글로벌 지역학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knowledge production mechanism and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rea studies through text mining. The research method utilizes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n academic journal as a knowledge production mechanism.
First, using KCI’s database, an academic journal corresponding to area studies of broadness was selected as a object of analysis.. The research status of these journals, the subject of production of area studies knowledge, and the composition of each academic field were confirmed. Next, using the selected academic journal as a sampl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title and major keywords of the paper published in the journal, and text mining was conducted. First of all,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keywords related to East Asian and social science concepts were major. Finally, the main topics and characteristics of area studies were identified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Through topic coherenc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ix topics are the optimal number of topic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s well, we analyzed it by setting lambda(λ) to 0 or 1.
The discussion pointed out that domestic area studies are being conducted mainly in East Asia, especially the Trans-Pacific, and that humanities-based area studies have a large propor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sub-disciplinary field. Considering this trend, this study proposed “global area studies” as “area studies 3.0,” including “variations in globality,” comparative area studies, and research on mega-regions as the direction of future area studies. KCI Citation Count: 5 |
---|---|
ISSN: | 2586-0305 2586-3797 |
DOI: | 10.31720/JGA.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