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에 대한 반직관성-비도덕성 반론과 그 대응

공리주의에 대해 자주 제기되는 반론은 공리주의가 반직관적-비도덕적 결론을 낳기 때문에 합당하지 않은 윤리 이론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공리주의는 반직관적 결론의 산출이 공리주의를 거부할 근거가 되지 못한다고 대응하거나 공리주의는 반직관적 결론을 낳지 않는다고 대응한다. 전자에는 옹호 전략과 감내 전략이, 후자에는 부인 전략과 수정 전략이 속한다. 옹호 전략과 감내 전략은 직관에 대한 공리의 우선성을 논증하고, 부인 전략은 결과 계산의 오류와 비현실적인 경험적 가정의 오류가 없다면, 공리주의는 반직관적-비도덕적 결론을 산출하지 않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倫理硏究 Vol. 147; pp. 163 - 193
Main Authors 류지한, Lyou Ji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윤리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47.202412.1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공리주의에 대해 자주 제기되는 반론은 공리주의가 반직관적-비도덕적 결론을 낳기 때문에 합당하지 않은 윤리 이론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공리주의는 반직관적 결론의 산출이 공리주의를 거부할 근거가 되지 못한다고 대응하거나 공리주의는 반직관적 결론을 낳지 않는다고 대응한다. 전자에는 옹호 전략과 감내 전략이, 후자에는 부인 전략과 수정 전략이 속한다. 옹호 전략과 감내 전략은 직관에 대한 공리의 우선성을 논증하고, 부인 전략은 결과 계산의 오류와 비현실적인 경험적 가정의 오류가 없다면, 공리주의는 반직관적-비도덕적 결론을 산출하지 않음을 논증한다. 규칙공리주의의 장점을 포괄하는 두 수준 공리주의는 공리의 우선성을 주장하면서도 반직관적 결론이 극단적 예외성에서 비롯되는 것이지 공리주의의 본질적 한계 때문은 아님을 논증한다. 이런 대응 전략들은 상황의 극단적 예외성에 기초한 반직관성 반론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공리주의가 인격의 개별성과 통합성을 무시하는 비도덕적 이론이라는 도덕적 행위 주체성 반론에는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 The common objection to utilitarianism is that it is an unreasonable ethical theory because it yields counterintuitive-immoral conclusions. In response, utilitarianism argues either that the generation of counterintuitive conclusions does not justify rejecting the theory or that utilitarianism does not actually produce such conclusions. The former includes defense strategies and tolerance strategies, while the latter includes denial strategies and revision strategies. Defense and tolerance strategies argue for the the priority of utility over intuition, whereas denial strategies contend that counterintuitive-immoral conclusions arise only from errors in calculating consequences or from unrealistic empirical assumptions. Two-level utilitarianism, which incorporates the strengths of rule utilitarianism, emphasizes the priority of utility while also maintaining that counterintuitive conclusions stem from extreme exceptions rather than inherent flaws in utilitarianism. These response strategies can address counterintuitive objections based on extremely exceptional cases but fail to adequately respond to the moral agency objections, which argues that utilitarianism is an immoral theory because it disregards the separateness of persons and the integrity of persons.
Bibliography: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ISSN:2982-5121
2982-5334
DOI:10.15801/je.1.147.202412.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