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전』 ‘有’자 구문의 유형과 의미적 특성 ― 소유와 존재 의미를 중심으로
본고는 고대중국어 초기 문헌인 『좌전』에 나타난 ‘有’자 구문의 소유 및 존재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14건의 ‘주어+有+목적어’와 ‘처소구+有+대상’ 구조를 전수 조사하여 구문 유형과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어 위치에는 구체명사가 놓였지만 목적어 위치에는 추상명사까지도 허용되었으며, 주어에는 유생명사, 무생명사, 한정적인 정보, 비한정적인 정보가 모두 놓인 반면, 목적어에는 주로 비한정적인 정보가 놓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주어(혹은 처소구)와 목적어(혹은 대상)의 의미관계에 따라 ‘有’의 의...
Saved in:
| Published in | 중국학보 Vol. 113; pp. 31 - 54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중국학회
31.08.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850X 2671-8286 |
| DOI | 10.35982/jcs.113.2 |
Cover
| Summary: | 본고는 고대중국어 초기 문헌인 『좌전』에 나타난 ‘有’자 구문의 소유 및 존재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14건의 ‘주어+有+목적어’와 ‘처소구+有+대상’ 구조를 전수 조사하여 구문 유형과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어 위치에는 구체명사가 놓였지만 목적어 위치에는 추상명사까지도 허용되었으며, 주어에는 유생명사, 무생명사, 한정적인 정보, 비한정적인 정보가 모두 놓인 반면, 목적어에는 주로 비한정적인 정보가 놓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주어(혹은 처소구)와 목적어(혹은 대상)의 의미관계에 따라 ‘有’의 의미는 존재, 강한 소유, 약한 소유로 구분될 수 있었는데, 전체적으로는 소유 의미가 위주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초기에는 ‘有’ 구문의 소유 의미 범주가 좀 더 광범위했음을 시사한다. 고대중국어 ‘有’자 구문의 의미 실현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힌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중국어 소유와 존재 표현의 역사적 변천과 의미 확장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ossessive and existential meanings of the you (有) construction found in early Classical Chinese texts, particularly the Zuo Zhuan. To this end, a total of 514 instances of the structures “Subject + 有 + Object” and “Locative Phrase + 有 + Theme” were examined, and their syntactic types and semantic featu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while concrete nouns typically occurred in subject position, abstract nouns were also permitted in object position. Moreover, subjects included both animate and inanimate nouns, as well as definite and indefinite referents, whereas objects were predominantly indefinite. Depending on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r locative phrase) and the object (or theme), the meaning of you could be classified as existential, strong possessive, or weak possessive, with possessive meanings being predominant overall. This suggests that, in its early usage, the possessive category of the you construction was more broadly defined. By elucidating the semantic realizations of the you construction in early Classical Chinese,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semantic expansion of possessive and existential expressions in Chinese. |
|---|---|
| Bibliography: | The Society for Chinese Studies |
| ISSN: | 1226-850X 2671-8286 |
| DOI: | 10.35982/jcs.11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