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당구 수련이 남자대학생의 골 건강에 미치는 효과

연구목적: 장기적인 당구 수련이 남자대학생의 골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당구운동은 남자대학생의 골격의 질량과 골격의 강도를 개선하고 골 건강을 유지 증진 시키며 긍정적인 개선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종골, 대퇴골과 요추의 골 건강상황을 개선하여 골다공증의 발생을 예방, 지연시키고 건강위험 평가체제를 구축하는데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K대학 2,3학년 남자대학생99명(표1)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한 학기의 당구수련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를 진행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문화예술 Vol. 4; no. 1; pp. 133 - 142
Main Authors 차유람, Cha You-ram, 전유정, Jeon Yoo-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예술학회 30.04.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3.4.1.1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장기적인 당구 수련이 남자대학생의 골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당구운동은 남자대학생의 골격의 질량과 골격의 강도를 개선하고 골 건강을 유지 증진 시키며 긍정적인 개선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종골, 대퇴골과 요추의 골 건강상황을 개선하여 골다공증의 발생을 예방, 지연시키고 건강위험 평가체제를 구축하는데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K대학 2,3학년 남자대학생99명(표1)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한 학기의 당구수련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기본 스토로크수련, 끌어치기와 밀어치기 수련, 각도 계산법, 상단치기, 중앙치기, 우측치기, 커브, 맛세 수련을 하였으며 실험군은 매주 3회 이상 매회 수련시간은 60분으로 하였으며 한 학기를 수련기간으로 정하였으며, SPSS16.0 통계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모든 수치는 평균수±표준차로 표시하였고 One-way ANOVA 와 Least-significant difference (LSD) 법으로 상관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 장기적인 당구수련은 효과적으로 남자대학생의 골 강도를 개선한다. 당구 수련 후 실험군의 BUA, SOS, STI 등 지표가 뚜렷이 실험 전 수준보다 높았으며 그 중 BUA(초음파진폭감퇴, p<0.01), SOS(초음파음속, p<0.05), STI(골 강도, p<0.01).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후 결과에서도 통계학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 중 BUA(초음파진폭 감퇴, p<0.01), SOS(초음파음속, p<0.05), STI(골강도, p<0.01). 이는 당구수련 시 종종 한쪽다리로 전신의 체중을 지탱하면 다리에 힘이 증가하여 골질의 칼슘함량과 골 강도가 따라서 증가하며 골격은 견고하게 된다. 결론: 장기적인 당구 수련은 효과적으로 남대학생의 골량 수준을 향상시키며 대퇴골 근단과 제2요추 골 광물질 함량과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남대학생 골 강도 수준을 개선하며 골격이 기계부하와 변형력자극의 저항능력을 향상시킨다. Purpose: After carefully analyzing the effects of long-term billiards training on college males, billiards exercises have shown to have improved their skeletal mass, bone health, and assist in the regulation of glucose levels. To be more precise, billiards training assists in preventing and delaying the occurrence of osteoporosis by improving the bone health of the calcaneus, femur, and lumbar spine. Methods: 99 male college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K University residing in Seoul (Table 1)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ducted a one-semester billiards training program.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 was basic storock training, pull and push training, angle calculation method, top stroke, center stroke, right stroke, curve, and matse train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training time of 60 minutes each time at least three times a week, and one semester was set as the training period, and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16.0 statistical software. All figures were expressed as mean numerical ± standard difference and correlated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one-way ANOVA and Least-significant difference (LSD) method.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long-term billiards practice effectively improves bone strength in male college students. After billiards training, the indicators such as BUA, SOS, STI and other indica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learly higher than the pre-experiment level, among which BUA (ultrasonic amplitude reduction, p<0.01), SOS (ultrasonic sound velocity, p<0.05), and STI (bone strength, p<0.01). Among them, BUA (ultrasonic amplitude reduction, p<0.01), SOS (ultrasonic sound velocity, p<0.05), STI (bone strength, p<0.01). This is because when billiards is practiced, often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whole body with one leg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legs, and the calcium content and bone strength of the bone quality increase accordingly, and the skeleton becomes strong. Conclusion: Long-term billiards practice can effectively improve the bone mass level of male college students, increase the femoral apex and second lumbar bone mineral content and bone density, improve the bone strength level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improve the ability of the skeleton to resist mechanical load and strain force stimulation.
Bibliography: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3.4.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