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여건이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산업별 30대 남성 취업자의 퇴직률 대비 여성 취업자 퇴직률 비율로 측정한 여성의 노동환경이 여성들의 결혼과 출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3년~2019년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개인별 분석 결과는 남성에 비교한 여성의 노동시장 여건이 불리할수록 여성 취업자가 결혼할 확률과 결혼한 여성 취업자가 자녀를 가질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2014년~2019년 지역별 고용조사를 이용한 산업별 분석 역시 남성에 비교한 여성의 노동시장 여건이 불리한 산업일수록 여성 취업자의 유배우 비율이 낮고 최근 5년간 유배우 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노동경제논집 Vol. 47; no. 2; pp. 1 - 30
Main Authors 이철희, Chulhee Lee, 민규량, Gyuryang 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노동경제학회 30.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66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산업별 30대 남성 취업자의 퇴직률 대비 여성 취업자 퇴직률 비율로 측정한 여성의 노동환경이 여성들의 결혼과 출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3년~2019년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개인별 분석 결과는 남성에 비교한 여성의 노동시장 여건이 불리할수록 여성 취업자가 결혼할 확률과 결혼한 여성 취업자가 자녀를 가질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2014년~2019년 지역별 고용조사를 이용한 산업별 분석 역시 남성에 비교한 여성의 노동시장 여건이 불리한 산업일수록 여성 취업자의 유배우 비율이 낮고 최근 5년간 유배우 비율 증가 폭이 작았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이 결과는 노동시장에서 여성 취업자가 직면하는 불리함이 여성들의 결혼과 출산 기피의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women react to employment environments when deciding on marriage and childbirth. This is accomplished by comparing female versus male retirement probabilities at age in their 30s by industry. Based on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between 2013-2019, We find that under harsh conditions in the labor market, the probability of women getting married, and hence giving birth, decreases. To put more detail into this, data findings obtained from the Regional Employment Surveys for the period between 2014 and 2019 show that the less-favorable-to-women industries have indicated a reduced and stagnant rate of married female employees over the last five year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disadvantages from the labor market reduce the chances for women to get married and give birth.
Bibliography:The Korean Labour Economic Association
ISSN:1229-6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