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입에 대한 개혁신학적 해석 연구: 조나단 에드워즈를 중심으로
16세기 종교개혁시대에 주입이란 개념은 로마가톨릭에서 인간의 내적 자질 변화를 포함하여 공로사상의 근거가 되는 의미로 이해하였다. 이에 반해 종교개혁자들은 주입과 반대되는 외부적인 의의 전가 교리를 통해 칭의론을 전개했으며 성화와 구별되는 이중은혜를 주장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중생 이후 인간 내면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초자연적 역사와 구원의 실재를 드러내고자 개혁주의 안에서 주입은 다른 스콜라적 개념들인 성향이나 적절성과 함께 수용되어졌는데 특별히 당시 알미니안주의와의 논쟁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18세기 뉴잉글랜드 목회...
Saved in:
Published in | Yeogsa sinhag nonchong Vol. 46; pp. 80 - 10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30.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7593 2671-5783 |
DOI | 10.26427/JHT.46.3 |
Cover
Summary: | 16세기 종교개혁시대에 주입이란 개념은 로마가톨릭에서 인간의 내적 자질 변화를 포함하여 공로사상의 근거가 되는 의미로 이해하였다. 이에 반해 종교개혁자들은 주입과 반대되는 외부적인 의의 전가 교리를 통해 칭의론을 전개했으며 성화와 구별되는 이중은혜를 주장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중생 이후 인간 내면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초자연적 역사와 구원의 실재를 드러내고자 개혁주의 안에서 주입은 다른 스콜라적 개념들인 성향이나 적절성과 함께 수용되어졌는데 특별히 당시 알미니안주의와의 논쟁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18세기 뉴잉글랜드 목회자인 에드워즈도 주입을 통해 인간 내면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초자연적 역사를 설명하고 이것이 성화의 근거가 된다는 점을 주장했다. 비록 그가 주입과 인간 내면에서 성향의 변화를 주장했지만 그럼에도 그는 로마가톨릭이 주장하는 신인협동론과 공로사상의 근거가 되는 인간내적 자질 변화가 아닌 초자연적 성령의 역사와 그 유효적 은혜의 결과를 인간 성향의 변화로 인식하였으며 칭의와 성화를 이중은혜로 분명히 구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주입 개념 사용은 개혁주의 안에서 구원론의 지평을 넓히는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In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era, the concept of infusion was understood in Roman Catholicism as a basis for the idea of merit, including the change of human inner qualities. On the other hand, the Reformers develope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through the imputation of external righteousness as opposed to infusion. However, in order to emphasize the supernatural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reality of salvation working in saints after regeneration over time, infusion was accepted in Reformed Theology including Turretin and Mastricht along with other scholastic concepts such as disposition and fitness. The concepts were especially useful in debate with Arminianism. Jonathan Edwards, an 18th-century New England Reformed pastor, also explained the supernatural works of the Holy Spirit working inside human beings through infusion and argued that this was the basis for sanctification. Although he insisted on the change of disposition in saints through the infusion, Edwards recognized it as the works of the supernatural and effective grace, not the change of human internal qualities, which is the basis of Roman Catholicism's synergism and merit. Edwards’ use of the concept of infusion has played a role in broadening the horizon of soteriology in Reformed Theology. |
---|---|
Bibliography: | Korea Evangelical Historical-Theological Society |
ISSN: | 1229-7593 2671-5783 |
DOI: | 10.26427/JHT.4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