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 지능 아동의 집단미술치료 모니터링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이 연구에서는 경계선 지능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모니터링을 활용한 부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I과 II로 구성되었다. 연구 I에서는 문헌 연구, 요구조사 및 분석, 심층집단면접 등을 활용해 경계선 지능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모니터링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구성하였다. 그 결과 본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경계선 지능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부모 교육과 모니터링, 피드백 과정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연구 II에서는 연구 I에서 개발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 17; no. 2; pp. 57 - 87
Main Authors 정희정, Hee-jeong Jeong, 김명식, Myung-shi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2-9285
2733-9033
DOI10.47801/KJIMH.17.2.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에서는 경계선 지능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모니터링을 활용한 부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I과 II로 구성되었다. 연구 I에서는 문헌 연구, 요구조사 및 분석, 심층집단면접 등을 활용해 경계선 지능 아동과 그 부모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모니터링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구성하였다. 그 결과 본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경계선 지능 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부모 교육과 모니터링, 피드백 과정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연구 II에서는 연구 I에서 개발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J시에 거주하는 8-12세 사이의 경계선 지능 아동과 그 부모 45쌍(실험집단: 15쌍, 비교집단: 15쌍, 통제집단: 15쌍)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10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전, 사후, 추수의 정서 행동과 문제행동, 부모의 양육 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계선 지능 아동의 정서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경계선 지능 아동의 문제행동이 감소 되었다. 셋째, 부모의 양육 태도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넷째,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향상되었다. 본 집단미술치료 모니터링을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경계선 지능 아동의 정서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문제행동이 감소 되었으며, 부모의 양육 태도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도 향상되었다. 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their parents involving art therapy monitoring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In part I of the research,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their parents is developed by means of a review study, a needs assessment analysis,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parent education and monitoring, and parent feedback. In part II, of the research, the effec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ere assessed. The subjects were 45 pair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ged 8-12 years old and their parents residing in J city(experimental group: 15 pairs, comparative group: 15 pairs, control group: 15 pairs). The program was opera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ten sessions. Measurements were taken to compare pre-post and post-follow-up scores of emotional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parent-education program with group art therapy monitoring, the children’s emotional behaviors changed, becoming more positive. Second, after the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decreased. Third, after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parent’s attitudes changed, also becoming more positive. Fourth, after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parent-child communications were enhanced effectively. Thus, the findings show that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children's behavior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ll appeared to undergo positive chang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tasks are also discussed.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infant mental health
ISSN:2092-9285
2733-9033
DOI:10.47801/KJIMH.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