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 제거에 의한 Miscanthus × giganteus의 바이오매스 증가: 잡초와의 조기 자원 경쟁 우위의 중요성

과거 억새는 사료용, 관상용, 약용 등으로 활발히 이용되었으며, 최근 바이오매스로써의 이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작물이다. 억새는 40%의 셀룰로오스와 25%의 헤미셀룰로오스, 21%의 리그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으로 전환시켜 바이오소재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고, 리그닌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이용하여 자외선 보호 필름 등의 소재로 이용이 가능하여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작물이다. 억새의 효과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생육 초기 2년 간 잡초 제거가 필요하다는 보고가 되어 있으나, 국내 실정에 맞는 각 제초제에 따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농업생명환경연구 Vol. 34; no. 3; pp. 301 - 309
Main Authors 한경덕, Gyung Deok Han, 김윤하, Yoonha Kim, 이해속, Haisu Lee, 이상협, Sanghyeob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1.12.2022
농업생명과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8322
2508-870X
DOI10.22698/jales.2022003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과거 억새는 사료용, 관상용, 약용 등으로 활발히 이용되었으며, 최근 바이오매스로써의 이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작물이다. 억새는 40%의 셀룰로오스와 25%의 헤미셀룰로오스, 21%의 리그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으로 전환시켜 바이오소재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고, 리그닌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이용하여 자외선 보호 필름 등의 소재로 이용이 가능하여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작물이다. 억새의 효과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생육 초기 2년 간 잡초 제거가 필요하다는 보고가 되어 있으나, 국내 실정에 맞는 각 제초제에 따른 효과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억새를 파종한 뒤,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4개의 제초제(듀알, 논마트, 라쏘, 스톰프)에 대해 각 무처리구와 1회, 2회, 그리고 손제초를 포함한 완전 체초제 처리를 시험하여 각 제초제에 따른 억새의 성장 증대 효과를 확인하였다. 성장 증대를 확인하기 위해 초장, 간장, 수장, 줄기수와 경직경을 확인하였으며, 제초제를 처리하였을 때가 무처리 억새 포장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인 생육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줄기 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를 통해 억새의 새로운 분지가 토양으로 출아할 때, 잡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최종 바이오매스 획득량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초기 2년간의 잡초 제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를 직접 측정,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바이오매스 향상 정도를 확인하여 바이오매스 획득량 증가를 위한 단계별 재배기술 확립에 더 확실한 기초 데이터를 얻는다면 바이오메스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Silver grass (Miscanthus × giganteus)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feedstock and for ornamental and medicinal purposes. Recently, however, the biomass uses of silver grass have also been highlighted. This grass comprises 40% cellulose, 25% hemicellulose, and 21% lignin, the cellulose component of which can be converted into glucose, as a source of biofuel, whereas the lignin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UV protectant film development. Given these utilities, silver grass is considered to have high value as a biomass plant. Consequently, it is desirable to develop efficient methods for the cultivation of this grass.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weed control is necessary during the initial 2 years of silver grass cultivation; however, none of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Korean cultivation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accordingly evaluated the efficacy of four herbicides commonly used in Korea for weed control during silver grass cultivation. We found that herbicide treatments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growth of silver grass, notably with respect to branching.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conclude that to maximize the final biomass yield, a high level of weed control is essential during the initial 2 years of silver grass cultivation.
Bibliography: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ttp://www.jales.org
ISSN:2233-8322
2508-870X
DOI:10.22698/jales.2022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