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절실함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성향의 조절효과
[목적]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절실함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과 성취목표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방법]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청소년 운동선수(남자) 2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7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24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과 기초통계분석(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PROCESS Macro(Model 1)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절실함은 자기관리에 유의한...
        Saved in:
      
    
          |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Vol. 35; no. 4; pp. 588 - 599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스포츠과학원
    
        31.12.2024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920 2233-7938  | 
Cover
|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절실함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과 성취목표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방법]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청소년 운동선수(남자) 2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7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24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과 기초통계분석(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PROCESS Macro(Model 1)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절실함은 자기관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과제목표성향은 자기관리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아목표성향은 자기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절실함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과제목표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했으나, 자아목표성향의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의 절실함은 자기관리와 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관계는 과제목표성향을 가진 운동선수들에게 더욱 극대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 청소년 운동선수들에게 있어 자신의 절실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기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과제목표성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나아가 이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한국 운동부 문화에서만 발견되는 토속심리학적 개념의 이론적 배경에 일조한다는 학술적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Julsil impact on self-man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adolescent male athletes. METHODS Adolescent male athletes (n=248) registered with the Korean Sports & Olympic Committee participated in a survey. After exclusion of data from seven respondents who provided insincere responses, 24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verification of the measurement tool’s construct validity,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1)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RESULTS 1) Male adolescent athletes’ Julsil and 2) task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lf-management,, but ego goal orientation did not. 3) The moderating effect of task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lsil and self-management was significant, but that of ego goal orientation was not. CONCLUSIONS 1) Male adolescent athletes’ Julsil and 2) task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lf-management,, but ego goal orientation did not. 3) The moderating effect of task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lsil and self-management was significant, but that of ego goal orientation was not. | 
|---|---|
| ISSN: | 1598-2920 2233-79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