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지수의 구성요인 및 모형 탐색 : 부산의 국제화 측정 및 세계도시와의 비교를 위한 방향 제시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도시는 더 이상 어느 국가의 민족적 경계 내의 장소만은 아니다. 이제 도시는 민족적, 지역적, 세계적 차원이 공존하는 장소가 되어가고 있다. 오늘날 전 세계인구의 반 이상이 대도시에 살고 있으며, 이들 도시는 국가를 초월해 세계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이들 도시는 단순히 한 국가의 경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장소를 국제화하고 자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다른 도시들과 국제적 경쟁을 한다. 이에 전 세계 도시를 지표화해서 비교하고 도시간의 연결성을 살펴보는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 , 8(1) pp. 29 - 4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글로벌지역학연구소
31.03.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0305 2586-3797 |
DOI | 10.31720/JGA.8.1.2 |
Cover
Summary: |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도시는 더 이상 어느 국가의 민족적 경계 내의 장소만은 아니다.
이제 도시는 민족적, 지역적, 세계적 차원이 공존하는 장소가 되어가고 있다. 오늘날 전 세계인구의 반 이상이 대도시에 살고 있으며, 이들 도시는 국가를 초월해 세계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이들 도시는 단순히 한 국가의 경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장소를 국제화하고 자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다른 도시들과 국제적 경쟁을 한다.
이에 전 세계 도시를 지표화해서 비교하고 도시간의 연결성을 살펴보는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국제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계량 모형 이른바 ‘글로벌지수’를 구축하고자 한다. ‘글로벌지수’ 개발에 있어 본 연구는 우선 도시국제화비교를 위한 국제화 계수를 개발하고 계량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국가별-연도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글로벌지수’ 계량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작업을 통해 표준화된 도시 국제화 비교를 위한 ‘부산글로벌지수’의 필요변수와 구성요인을 정리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도시국제화 비교를 위한 국제화 계수를 개발하고 계량모형을 구축함으로써부산의 국제화 정도를 알기 위한 개략적인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타 도시들과 비교할 수있는 표준화된 모형을 시론적으로 제시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With the advancement of globalization, cities are no longer just places within the ethnic boundaries of a country. Cities are now becoming places where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dimensions coexist.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in large cities, and these cities are transcending countries. They act as a driving force of global economic growth. Accordingly, the research first presents an econometric model to construct a global index. We conduct a series of empirical modeling to calculate the coefficients necessary for the model and build a global index with relative objectiveness. After building a global index with series of quantitative modelling, we conduct a country- and year-level comparison among countries. Lastly we suggest future plans and necessary variables for creating a global index by city particularly for Busan. We suggest some necessary and significant variables that could be extracted both from the existing database and from series of survey.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a rough direction of constructing Busan global index which is significant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among cities. The research aims to give fundamental insights to the significance of constructing city-level global index, and furthermore, basic idea of constructing the index using necessary variables.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past and current literature reltaed to the global index by presenting a robust index from series of empirical modeling and coefficients which could be adopted as a global index to compare global citi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586-0305 2586-3797 |
DOI: | 10.31720/JGA.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