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공동체의식과 지속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안산 ‘온새미로’ 생활문화공동체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오늘날 문화활동에 기반한 지역공동체의 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이 공동체의식과 지속거주의향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2000년대 이후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체의 중요성이 증대하였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마을만들기, 도시재생, 생활문화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정부는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지난 20여년 간 지속해 오고 있으며, 인구감소와 지역쇠퇴의 우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에 선정된...
Saved in:
Published in | 국정관리연구 Vol. 20; no. 1; pp. 69 - 9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30.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8324 2671-6259 |
DOI | 10.16973/jgs.2025.20.1.003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오늘날 문화활동에 기반한 지역공동체의 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이 공동체의식과 지속거주의향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2000년대 이후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체의 중요성이 증대하였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마을만들기, 도시재생, 생활문화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정부는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지난 20여년 간 지속해 오고 있으며, 인구감소와 지역쇠퇴의 우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에 선정된 경기도 안산시 안산동 ‘온새미로’ 공동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은 전반적으로 주민들의 공동체의식의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공동체 구성원 간 형성된 구성원 의식, 정서적 친밀감, 상호영향 등의 요소들은 주민들로 하여금 동네나 지역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지속적인 거주의향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 지원의 공동체 사업이 근본적으로 주민의 욕구와 니즈를 반영하고, 지역특성을 반영한 일상 생활속 활동과 연계될 때 공동체의식의 제고뿐만 아니라 나아가 지역의 인구감소에도 대응하는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dynamics of the sense of community fostered by the Initiative for Creating Culture Communities in Everyday Life (ICCE), amid the growing discourse on local communities utilizing culture today. Since the 2010s,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in solving local problems has increased, prompting the government and local municipalities to provide various policy supports. Research on the state of community activation and awareness through public support is crucial for the continuity of such initiatives. S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Onsaemiro’ community in Ansan-dong, Ansan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CCE generally plays a positive role in enhancing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residents. Furthermore, elements such as emotional intimacy and mutual influence formed among community members were found to increase residents' interest in their neighborhoods or regions and positively influence their continual residence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 projects reflecting resident leadership and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CCE, are valuable not only for enhancing the sense of community but also for addressing regional population decline. |
---|---|
Bibliography: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
ISSN: | 1975-8324 2671-6259 |
DOI: | 10.16973/jgs.2025.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