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경험(UX) 관점에서 본 SPA 브랜드 앱의 리텐션 마케팅: 자라 재입고 알림 서비스의 디지털 넛지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는 SPA 브랜드 앱의 재입고 알림 서비스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넛지 요소가 사용자의 행동과 구매의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알림 시점의 적절성, 정보의 명확성, 맞춤 정보, 구매 만족도 등 디지털 넛지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가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개별적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라 앱의 재입고 알림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디지털 넛지 요소(알림 시점의...
Saved in:
Published in | 국제문화예술 Vol. 6; no. 2; pp. 587 - 60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예술학회
30.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33-6654 2765-6985 |
DOI | 10.46506/jica.2025.6.2.587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는 SPA 브랜드 앱의 재입고 알림 서비스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넛지 요소가 사용자의 행동과 구매의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알림 시점의 적절성, 정보의 명확성, 맞춤 정보, 구매 만족도 등 디지털 넛지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가 사용자 행동에 미치는 개별적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라 앱의 재입고 알림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디지털 넛지 요소(알림 시점의 적절성, 정보 명확성, 맞춤 정보, 구매 만족도)와 사용자 행동 의도(앱 재이용 의도, 지속 사용 의도, 추천 의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회귀 분석을 통해 각 요소가 사용자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 명확성은 앱 재이용 의도와 지속 사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맞춤 정보는 앱 추천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 개인화된 정보 제공이 타인에게 앱을 추천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 하였다. 구매 만족도는 앱 지속 사용 및 재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알림 시점의 적절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는 디지털 넛지 설계 시, 사용자 행동 목적에 따라 정보 명확성, 맞춤 정보, 구매 만족도 등 핵심 요소를 차별화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특히, 앱의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정보 명확성에, 앱 추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맞춤 정보 제공에 중점을 둔 UX 설계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gital nudge factors utilized in the restock notification service of SPA brand apps on users' behavior and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it seeks to analyze the individual effects of specific components of digital nudges, such as the timeliness of notifications, clarity of information,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on user behavior. Methods: This research employs a quantitative analysis approach,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93 us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the restock notification service of the Zara app.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measuring digital nudge factors (timeliness of notifications, clarity of information, personalized information, purchase satisfaction) and user behavior intentions (app reuse intention, continued use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ch factor on user behavior intention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clarity of information ha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app reuse inten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Personalized information exerts the greatest influence on app recommendation intention, confirming that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is a crucial factor in users' decisions to recommend the app to others. Purchase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nd reuse the app, while the timeliness of notifications shows a relatively weaker influence.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designing digital nudges, it is effective to differentiate and apply key factors such as clarity of information,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r behavior. In particular, for encouraging continued app usag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clarity of information, and for promoting app recommendations, UX design should focus on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
---|---|
Bibliography: | 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
ISSN: | 2733-6654 2765-6985 |
DOI: | 10.46506/jica.2025.6.2.5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