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선거방해에 대한 정파적 이중잣대: 한국 유권자의 당파적 편향과 허위정보 인식 차이 분석

본 연구는 외국선거방해에 대한 한국 유권자의 정파적 이중잣대와 허위정보 인식 차이를 실증 분석한다. 2024년 전국 성인 1,247명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북한 해킹, 미국기밀문건 등 외국선거방해 관련 정보에 대한 인식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했다. 연구결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74.0%가 국민의힘이 외국선거방해로부터 이익을 본다고 인식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의 74.3%는 더불어민주당이 이익을 본다고 응답하는 대칭적 편향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81%가 관련 정보를 완전히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했으며, 정치적 이념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글로벌정치연구 Vol. 18; no. 2; pp. 179 - 202
Main Authors 임성학, Lim Sunghac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30.08.2025
글로벌정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1352
2671-8499
DOI10.35773/JGP.2025.18.2.1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외국선거방해에 대한 한국 유권자의 정파적 이중잣대와 허위정보 인식 차이를 실증 분석한다. 2024년 전국 성인 1,247명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북한 해킹, 미국기밀문건 등 외국선거방해 관련 정보에 대한 인식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했다. 연구결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74.0%가 국민의힘이 외국선거방해로부터 이익을 본다고 인식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의 74.3%는 더불어민주당이 이익을 본다고 응답하는 대칭적 편향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81%가 관련 정보를 완전히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했으며, 정치적 이념과 정당 선호가 정보 처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동기화 추론 이론이 초국가적 정보 환경에서도 작동함을 보여주며, 한국 민주주의의 외국선거방해에 대한 구조적 취약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partisan double standards and misinformation perception differences regarding foreign electoral interference among Korean voters. Using survey data from 1,247 Korean adults in 2024, we examined perceptions of foreign electoral interference-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North Korean hacking and U.S. classified document leaks,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clear partisan double standards: 74.0% of Democratic Party supporters believed that the People Power Party benefits from foreign electoral interference, while 74.3% of People Power Party supporters believed the opposite. Overall, 81% of respondents failed to accurately identify all foreign electoral interference-related information, with political ideology and party preference significantly influenc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otivated reasoning mechanisms operate even in transna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s, extending beyond domestic political contexts. The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how political polarization creates structural vulnerabilities in democratic resilience against foreign electoral interference, suggesting the need for comprehensive policy responses that address polarization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fact-checking approaches.
Bibliography:Institute of Global Politics
ISSN:2005-1352
2671-8499
DOI:10.35773/JGP.2025.18.2.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