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기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경험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기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부모와 부모상담에 나타났던 변화,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경험,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참여자로 놀이치료자 13명을 모집하여 경력 기간에 따라 두 집단(초심 놀이치료자 집단 7명,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 6명, 연령: 20대~40대)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을 대상으로 약 120분 동안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서 수집된 답변 자료는 Morgan과 Krueger(1998)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내용 분석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 27; no. 2; pp. 241 - 266
Main Authors 방은령, Bang Eun-ryoung, 차효정, Cha Hyo Jung, 최진희, Choi Jin-hee, 정윤주, Chyung Yun-j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31.05.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7.2.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기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부모와 부모상담에 나타났던 변화,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경험,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참여자로 놀이치료자 13명을 모집하여 경력 기간에 따라 두 집단(초심 놀이치료자 집단 7명,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 6명, 연령: 20대~40대)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을 대상으로 약 120분 동안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서 수집된 답변 자료는 Morgan과 Krueger(1998)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내용 분석되었고 4개 주제에서 17개 상위범주와 5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놀이치료자들은 코로나19 시기 상담의 불안정성에 대처하면서 부모들의 어려움에 공감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은 부모의 어려움에 대한 상담 비중이 증가한 것에 대해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보다 더 많은 고충을 토로하였고 이와 관련한 교육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초심 놀이치료자 집단과 숙련 놀이치료자 집단은 모두 코로나19 시기와 같은 상황에 대비하여 비대면 상담 기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놀이치료자들의 부모상담 경험을 깊이 탐색하고 놀이치료자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적 지원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놀이치료자 교육의 발전적 방향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bserved in parents and parent consultations of child clients undergoing play therap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s in parent consultations, and the educational support needed to enhance the competencies of play therapists in conducting parent consultation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13 play therapis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xperience level (7 beginner and 6 senior therapists, age range: 20s~40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group for approximately 120 minutes. The responses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suggested by Morgan & Krueger (1998),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4 themes, 17 higher categories, and 57 subcategor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lay therapists had to cope with the instability of counseling and focused especially on empathizing with parents’ difficulties. The beginner group expressed more difficulties regarding the increased emphasis on parental difficulties in counseling, emphasizing the need for related educational support. Both the beginner and senior groups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ion such as remote counseling technique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lay therapist education, preparing therapists for future potential crises such as COVID-19.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