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젊은 무용 지도자의 노인 무용교육 경험사례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 젊은 무용 지도자들이 노인 무용 교육 활동 현장에서 경험한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노인 무용 교육에 참여하는 것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노년 무용 지도자나 노년 무용 교육 정책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지원과 변화를 제공하는 자료로 제시함으로써 노인무용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중국 노인대학에서 지속적으로 노인 현장 활동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문화예술 Vol. 5; no. 1; pp. 33 - 55
Main Authors 김승일, Kim Seung-il, 류스팅, Ryu Se-ti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예술학회 30.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4.5.1.0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 젊은 무용 지도자들이 노인 무용 교육 활동 현장에서 경험한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노인 무용 교육에 참여하는 것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노년 무용 지도자나 노년 무용 교육 정책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지원과 변화를 제공하는 자료로 제시함으로써 노인무용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중국 노인대학에서 지속적으로 노인 현장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23세에서 25세의 무용지도자 4명으로 10년 이상 전공적인 무용 교육을 받았으며, 최소 3년 이상 노인무용 교육 경험이 있는 노인 무용 지도자들이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지도자가 자신이 노인 무용 교육 과정에서 담당하는 역할에 대한 인식은 ‘지식과 규범적 동작을 전수하는 지도자’, ‘의사소통과 격려를 중시하는 동반자’, ‘학습자와 동반 성장하는 지도자’ 그리고 ‘교재의 연구 개발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젊은 지도자들은 노인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투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자아 가치 실현과 학생들이 관심으로 얻은 행복감’, ‘학생 발전에 따른 성취감’, ‘낮은 직업 스트레스에 대한 만족감’을 꼽았다. 셋째, 지도자가 현장에서 느끼는 도전과 대응책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이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도자는 ‘강화된 홍보와 모집’ 그리고 ‘지도자 인력의 저령화’ 등 대안을 통해 향후 노인무용교육을 강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무용 지도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젊은 지도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며 그들의 경력 개발을 촉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무용 지도자에게 필요한 지원과 변화를 파악하여 보다 많은 젊은 교사들을 노인무용 지도자 분야에 투신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필요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인 무용 교육 개선과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자료로 제공되어야 하고 다른 나라와 다양한 지역에서 노인교육 발전에 값진 참고가 될 것을 기대한다. Purpose: By analysing the teaching experiences of young Chinese dance instructors in elderly dance education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facilitate or hinder their participation in elderly dance education. It also aims to provide a new direction for elderly dance education by presenting the findings as a source of support and change for elderly dance instructors 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elderly dance education polici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four dance instructors, aged 23 to 25 years old,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ongoing elderly field activities at a Chinese university for the elderly, and who have more than 10 years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and at least three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dance to the elderly. Result: The instructors’ perception of their roles in the elderly dance education process was identified in the following order: ‘instructor transmitting knowledge and normative movements’, ‘companion emphasizing communication and encouragement’, ‘instructor growing alongside learners’, and ‘researcher and developer of teaching materials’. Young instructors cited ‘realization of self-worth and happiness gained through students’ interest’, ‘sense of achievement from student development’, and ‘satisfaction with low job stress’ as reasons for their sustained commitment to elderly education. An analysis of the challenge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by instructors in the field revealed that ‘enhanced promotion and recruitment’ and ‘lowering the age of leadership personnel’ were among the solutions implemented to strengthen future elderly dance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crucial to raise awareness of dance instructors, motivate young instructors, and promote their career development. It is also necessary to identify the support and changes needed for dance instructors to encourage more young teachers to commit to the field of elderly dance instructing. Therefore, this study should provide empiric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elderly dance education and related policy formulation, and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elderly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and various regions.
Bibliography: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4.5.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