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대학생 학업성취 잠재계층 유형과 특징: 북한에서의 가정 및 교육 경험 변인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북한에서의 가정 및 교육 경험에 대한 유형화를 통해 탈북대학생 학업성취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집단별 차이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북한에서 공교육 경험이 있는 탈북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잠재계층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탈북대학생의 북한 가정환경 및 교육 경험에 따라 “가정 및 교육 배경 양호 집단”, “가정 및 교육 배경 보통 집단”, “가정 및 교육 배경 열악 집단”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
Saved in:
Published in | 다문화와 평화 Vol. 18; no. 3; pp. 114 - 13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30.12.2024
다문화평화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4.18.3.006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북한에서의 가정 및 교육 경험에 대한 유형화를 통해 탈북대학생 학업성취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집단별 차이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북한에서 공교육 경험이 있는 탈북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잠재계층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탈북대학생의 북한 가정환경 및 교육 경험에 따라 “가정 및 교육 배경 양호 집단”, “가정 및 교육 배경 보통 집단”, “가정 및 교육 배경 열악 집단”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가정 및 교육 배경 열악 집단”의 학업성취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북한에서 가정환경이 좋고 교육 경험이 다양한, 북한 교육에서의 성취가 높은 학생이 한국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탈북대학생 학업 적응 지원에 있어 집단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 수립과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atent academic achievement groups among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by categorizing their family and educational experiences in North Korea, and analyzing group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3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ublic education experience in North Korea.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One-way ANOVA,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s: (1) “Favorable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 Group,” (2) “Average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 Group,” and (3) “Poor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 Group.” The “Poor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other groups.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with supportive family environments and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in North Korea tend to excel academically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policy development and tailored support to aid the academic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
---|---|
Bibliography: | SUNGKYUL UNIVERSITY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4.18.3.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