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를 위한 온천 공간에서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연구 - 온양온천 팝업스토어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배경 온천은 건강 증진 및 회복의 공간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 헬스케어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효과를 고려할 때, 이러한 디자인 요소를 온천 공간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천 공간에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치유 환경으로서의 온천의 역할을 강화하고, 디자인을 통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 구성 요소, 그리고 헬스케어 환경에서의 적용 사례와 효과를 정리하여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으며, 실증 연구를 통해 온천 정서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87; pp. 247 - 258
Main Authors 성소라, Sora Sung, 고은희, Eunhee K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온천은 건강 증진 및 회복의 공간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 헬스케어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효과를 고려할 때, 이러한 디자인 요소를 온천 공간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천 공간에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치유 환경으로서의 온천의 역할을 강화하고, 디자인을 통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 구성 요소, 그리고 헬스케어 환경에서의 적용 사례와 효과를 정리하여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으며, 실증 연구를 통해 온천 정서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이후 방문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추가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여 체험 후 효과성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마지막으로 헬스케어, 디자인, 공간 분야의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온천 공간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사용자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팝업스토어 방문자 230명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평균 4.75점의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해당 공간이 치유적인 환경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진행된 서면 인터뷰에서는 감각적 안정감과 정서적 회복 측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도출되었다.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자연 요소와 공간 구성이 치유 환경 조성에 기여한다는 평가가 있었으며, 실제온천 공간에 적용할 경우에는 향의 강도, 반복적인 자극, 위생 관리 등의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온천 환경에 적용할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만, 실제 온천이 아닌 제한된 환경에서 진행되었다는 점과 생리적 반응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어 이후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Background Hot springs have long evolved as spaces for health promotion and recovery. Considering the proven benefits of biophilic design in the healthcare field, there is a need to incorporate such design elements into hot spring environment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therapeutic role of hot springs by applying biophilic design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through design. Methods This study reviewed biophilic design in healthcare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identified and applied design elements for emotional well-being in hot spring environments, conducted user surveys and written interviews, and validated the findings through expert interviews in healthcare, design, and spatial fields. Result To assess the effects of biophilic design in a hot spring setting, user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 with 230 pop-up visitors showed a high average score (4.75) and strong recognition of its healing qualities. Follow-up interviews highlighted positive responses in sensory comfort and emotional recovery. Experts agreed on its therapeutic potential but noted the need to address scent intensity, repetitive stimuli, and hygiene in real-world applications. Conclus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biophilic design in hot spring environments and examine its potential effects. However, it was conducted in a limited setting rather than an actual hot spring, and physiological response data were not collected. Future research will address these limitations and further develop the findings.
Bibliography: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ISSN:2233-9205
2586-4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