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콩디야크의 해석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 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이 대상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몰리뉴는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변했고, 존 로크와 조지 버클리도 역시 몰리뉴의 의견을 따랐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는 라 메트리, 드니 디드로, 『인간지식기원론』의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야크가 시각의 지각에 촉각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로크와 버클리를 반박한다. 더욱이 디드로는 콩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학연구 Vol. 64; pp. 69 - 98
Main Authors 이충훈, Lee Choong-h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1.08.2025
인문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64.3

Cover

Abstract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 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이 대상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몰리뉴는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변했고, 존 로크와 조지 버클리도 역시 몰리뉴의 의견을 따랐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는 라 메트리, 드니 디드로, 『인간지식기원론』의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야크가 시각의 지각에 촉각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로크와 버클리를 반박한다. 더욱이 디드로는 콩디야크의 저작의 체계와 버클리의 체계를 동일한 것으로 보고 이들을 관념론자로 비판했다. 한편 디드로의 비판 이후 4년 후에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전작(前作)의 입장을 크게 수정한다. 그는 몰리뉴의 문제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 한 로크와 버클리의 입장을 이번에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이들의 입장을 따르고 있다. 우리의 관심은 콩디야크의 이와 같은 입장의 변화가 디드로의 비판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 것인지 연구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버클리의 관념론을 부정하는 대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문제가 되었던 외부대상의 실재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념론자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Throughout the 18th century in Europe, the Molyneux Problem was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ebated questions. Molyneux posed this question, concerning a man born blind whose sight is restored, to John Locke, who agreed with the Irish scholar. But Molyneux and Locke, and later George Berkeley, always a supporter of emprism, were criticized by philosophers such as La Mettrie, Denis Diderot, and Etienne Bonnot de Condillac. Moreover, Diderot reprimanded his friend Condillac for interfering with Berkeley's “idealism.” Our study aims to clarify Condillac’s position, which abruptly shifted from affirming this problem to denying it regarding the Molyneux Problem. Did he accept Berkeley's critique of idealism, or did he push so-called “idealism” further? In conclusion, we think that in the Treatise on Sensations, Condillac, instead of denying Berkeley’s idealism, accepts it positively while simultaneously rejecting Diderot's criticism, where Condillac is considered an idealist, and that he escapes this criticism.
AbstractList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 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이 대상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몰리뉴는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변했고, 존 로크와 조지 버클리도 역시 몰리뉴의 의견을 따랐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는 라 메트리, 드니 디드로, 『인간지식기원론』의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야크가 시각의 지각에 촉각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로크와 버클리를 반박한다. 더욱이 디드로는 콩디야크의 저작의 체계와 버클리의 체계를 동일한 것으로 보고 이들을 관념론자로 비판했다. 한편 디드로의 비판 이후 4년 후에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전작(前作)의 입장을 크게 수정한다. 그는 몰리뉴의 문제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 한 로크와 버클리의 입장을 이번에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이들의 입장을 따르고 있다. 우리의 관심은 콩디야크의 이와 같은 입장의 변화가 디드로의 비판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 것인지 연구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버클리의 관념론을 부정하는 대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문제가 되었던 외부대상의 실재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념론자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Throughout the 18th century in Europe, the Molyneux Problem was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ebated questions. Molyneux posed this question, concerning a man born blind whose sight is restored, to John Locke, who agreed with the Irish scholar. But Molyneux and Locke, and later George Berkeley, always a supporter of emprism, were criticized by philosophers such as La Mettrie, Denis Diderot, and Etienne Bonnot de Condillac. Moreover, Diderot reprimanded his friend Condillac for interfering with Berkeley's “idealism.” Our study aims to clarify Condillac’s position, which abruptly shifted from affirming this problem to denying it regarding the Molyneux Problem. Did he accept Berkeley's critique of idealism, or did he push so-called “idealism” further? In conclusion, we think that in the Treatise on Sensations, Condillac, instead of denying Berkeley’s idealism, accepts it positively while simultaneously rejecting Diderot's criticism, where Condillac is considered an idealist, and that he escapes this criticism.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이 대상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가에대한 것이었다. 몰리뉴는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변했고, 존 로크와 조지 버클리도역시 몰리뉴의 의견을 따랐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는 라 메트리, 드니디드로, 인간지식기원론의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야크가 시각의 지각에 촉각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로크와 버클리를 반박한다. 더욱이 디드로는 콩디야크의 저작의 체계와 버클리의 체계를 동일한 것으로 보고 이들을 관념론자로 비판했다. 한편 디드로의 비판 이후 4년 후에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전작(前作)의 입장을 크게 수정한다. 그는 몰리뉴의 문제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한 로크와 버클리의 입장을 이번에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이들의 입장을 따르고있다. 우리의 관심은 콩디야크의 이와 같은 입장의 변화가 디드로의 비판에 어떻게대응하고 있는 것인지 연구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버클리의 관념론을 부정하는 대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문제가되었던 외부대상의 실재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념론자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Throughout the 18th century in Europe, the Molyneux Problem was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ebated questions. Molyneux posed this question, concerning a man born blind whose sight is restored, to John Locke, who agreed with the Irish scholar. But Molyneux and Locke, and later George Berkeley, always a supporter of emprism, were criticized by philosophers such as La Mettrie, Denis Diderot, and Etienne Bonnot de Condillac. Moreover, Diderot reprimanded his friend Condillac for interfering with Berkeley's “idealism.” Our study aims to clarify Condillac’s position, which abruptly shifted from affirming this problem to denying it regarding the Molyneux Problem. Did he accept Berkeley's critique of idealism, or did he push so-called “idealism” further? In conclusion, we think that in the Treatise on Sensations, Condillac, instead of denying Berkeley’s idealism, accepts it positively while simultaneously rejecting Diderot's criticism, where Condillac is considered an idealist, and that he escapes this criticism. KCI Citation Count: 0
Author Lee Choong-hoon
이충훈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충훈
– sequence: 2
  fullname: Lee Choong-ho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395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T1Lw0AAhg-pYK1dXF0yC4m577uxFG0rhYJkPy5pIiGaSDK5KbgIDg4NOrTgJCgZHDo46C-65D8YrdPDCw_vsws6aZaGAOxD18GUUnnknc7GDiMO3gJdxDi0hSC8A7oQIWlTIugO6BdF7LuuRAIjJLqAmPcP81qZ-3W9erZM9Vm_LOunR8s83DTl0qq_38xiUZdfzW31KzTlur5b7YHtSF8UYf-fPeCdHHvDsT2djSbDwdROKG3jLPRhFGokkNSEYUYwpwHVPpsHWEMopIAMBzKigjGE_EC0i_suDyAK51GIe-Bwc5vmkUqCWGU6_uN5ppJcDc68iYIuJ5RR2MoHGzmJi0Jd5fGlzq8VaSuQC_wDtkRib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35559/TJOH.64.3
DatabaseName 한국학술정보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콩디야크의 해석
Condillac’s Interpretation of the Molyneux Problem
EISSN 2671-8847
EndPage 9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45651
418917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k551-86eb1fea2829a46364375c5ab6dc3a11898163c9f586622bc863c7b07c12edfe3
ISSN 1229-5485
IngestDate Wed Sep 10 03:52:44 EDT 2025
Sat Sep 06 06:24:54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551-86eb1fea2829a46364375c5ab6dc3a11898163c9f586622bc863c7b07c12edfe3
Notes Institute of Humanities Kyunghee University
http://dx.doi.org/10.35559/TJOH.64.3
PageCount 2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5651
kiss_primary_418917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5
  text: 2025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인문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인문학연구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학연구원
Publisher_xml – name: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name: 인문학연구원
SSID ssib009283228
ssib044739814
ssib001150071
Score 1.9336692
Snippet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 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69
SubjectTerms Denis Diderot
Etienne Bonnot de Condillac
George Berkeley
idealism
John Locke
the Molyneux problem
관념론
기타인문학
드니 디드로
몰리뉴의 문제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야크
조지 버클리
존 로크
Title 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콩디야크의 해석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8917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3952
Volume 6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인문학연구, 2025, 0(64), , pp.69-9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8847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9814
  issn: 1229-5485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8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09j9Mw1CrHwoJAB-L4UiXwVKWkju3YY5IWHScOliLdFiWpc6BKLSq9hQGBxILEwHAVDHcSExKoA8MNDLDxb5L-B56dNInQDRxS5Dh-z37v-Vn2e4nzjNDdmCkK676yEsGkRV3OLJk6I4vbTkRJOkq4-aK7-4hvP6E7e2yv1frd2LV0MI-7yctT_yv5H61CGehV_yV7Bs1WjUIB5EG_kIKGIf0nHeOBjz0P-7bJcOwFOiMk9ikeBFj2sRQdAwuwL3SRZ2MZGJiLpW1gItC7HQaAywDW0UC_jz2pYZLqS6Mz7AcaSfQMlbpxU6-gJwC737R2SzxNuuKhoCNLHjTrIADDdQjIdSXTpM8NJ1AJGK123T5UqhM8nU4n-5ZOm28uCFu_ii3HmmmfaJF0K_11HzWFliUPpkPOwLEpgU6yGzM7IdIC94w1p35OG3N3cWTM30sK2GNMh2Qd7jze7nLadeqFs9rOSHsCvF5xDp0nsLboA0R2Xw1qoxRs7qbRLfXpULXTR6nrSGGC0Fc8FnF0Del7FWEwGsCneAFG0GSWNoyg4SV0sfRe2l4xFC-j1ni6iWj27Xv2ZZm9O8mPP7Wz5Y_881H-8UM7e_96tThq57--ZoeH-eLn6s1SI6wWJ_nb4ytoeH8wDLat8jAOawxGtSU4LOqpivSH90gHmaOOyxIWxXyUOBF4qSACdxKZMsE5IXEi4MmNbTfpETVKlXMVbUymE3UNtZNERY6bkp4iknKSigjwqBtxB4pZpLbQppYzfF6EWwnL3t1Cd0DucJw8C3VIdH3fn4bjWQiO34NQ7ysG36R3_fTKN9CFegTeRBvz2YG6BdbkPL5tlPUH-HdVz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A%B0%EB%A6%AC%EB%89%B4%EC%9D%98+%EB%AC%B8%EC%A0%9C%EC%97%90+%EB%8C%80%ED%95%9C+%EC%BD%A9%EB%94%94%EC%95%BC%ED%81%AC%EC%9D%98+%ED%95%B4%EC%84%9D&rft.jtitle=%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rft.au=%EC%9D%B4%EC%B6%A9%ED%9B%88&rft.au=Lee+Choong-hoon&rft.date=2025-08-31&rft.pub=%EA%B2%BD%ED%9D%AC%EB%8C%80%ED%95%99%EA%B5%90+%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EC%9B%90&rft.issn=1229-5485&rft.volume=64&rft.spage=69&rft_id=info:doi/10.35559%2FTJOH.64.3&rft.externalDocID=418917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548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548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548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