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콩디야크의 해석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 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이 대상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몰리뉴는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변했고, 존 로크와 조지 버클리도 역시 몰리뉴의 의견을 따랐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는 라 메트리, 드니 디드로, 『인간지식기원론』의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야크가 시각의 지각에 촉각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로크와 버클리를 반박한다. 더욱이 디드로는 콩디...
Saved in:
| Published in | 인문학연구 Vol. 64; pp. 69 - 98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31.08.2025
인문학연구원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5485 2671-8847 |
| DOI | 10.35559/TJOH.64.3 |
Cover
| Summary: | 18세기 전반에 걸쳐 철학자들의 첨예한 논쟁의 대상이 될 몰리뉴의 문제는 선천적 맹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 대상의 지식을 갖춘 뒤, 시력을 회복했을 때 오직 시각만으로 이 대상들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몰리뉴는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변했고, 존 로크와 조지 버클리도 역시 몰리뉴의 의견을 따랐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는 라 메트리, 드니 디드로, 『인간지식기원론』의 에티엔 보노 드 콩디야크가 시각의 지각에 촉각의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로크와 버클리를 반박한다. 더욱이 디드로는 콩디야크의 저작의 체계와 버클리의 체계를 동일한 것으로 보고 이들을 관념론자로 비판했다.
한편 디드로의 비판 이후 4년 후에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몰리뉴의 문제에 대한 전작(前作)의 입장을 크게 수정한다. 그는 몰리뉴의 문제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을 한 로크와 버클리의 입장을 이번에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이들의 입장을 따르고 있다. 우리의 관심은 콩디야크의 이와 같은 입장의 변화가 디드로의 비판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 것인지 연구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콩디야크는 『감각론』에서 버클리의 관념론을 부정하는 대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문제가 되었던 외부대상의 실재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념론자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Throughout the 18th century in Europe, the Molyneux Problem was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ebated questions. Molyneux posed this question, concerning a man born blind whose sight is restored, to John Locke, who agreed with the Irish scholar. But Molyneux and Locke, and later George Berkeley, always a supporter of emprism, were criticized by philosophers such as La Mettrie, Denis Diderot, and Etienne Bonnot de Condillac. Moreover, Diderot reprimanded his friend Condillac for interfering with Berkeley's “idealism.”
Our study aims to clarify Condillac’s position, which abruptly shifted from affirming this problem to denying it regarding the Molyneux Problem. Did he accept Berkeley's critique of idealism, or did he push so-called “idealism” further? In conclusion, we think that in the Treatise on Sensations, Condillac, instead of denying Berkeley’s idealism, accepts it positively while simultaneously rejecting Diderot's criticism, where Condillac is considered an idealist, and that he escapes this criticism. |
|---|---|
| Bibliography: | Institute of Humanities Kyunghee University http://dx.doi.org/10.35559/TJOH.64.3 |
| ISSN: | 1229-5485 2671-8847 |
| DOI: | 10.35559/TJOH.6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