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은유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경험적 인식을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H대학교의 체육관련 전공 학생 232명이다.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e-class에 탑재하여 응답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Gök & Erdogan(2010)의 개념적 은유분석 단계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은유분석 단계를 통한 분석 결과 걸림돌(48%), 절망 속 희망(32%), 긍정의 전환점(20%) 총 3개 영역의 주요 범주가 도출되었다. ‘걸림돌’의 하위 요인으로는 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문화예술 Vol. 4; no. 2; pp. 75 - 86
Main Authors 양은심, Yang Eun-sim, 김진아, Kim Jin-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예술학회 3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3.4.2.07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경험적 인식을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H대학교의 체육관련 전공 학생 232명이다.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e-class에 탑재하여 응답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Gök & Erdogan(2010)의 개념적 은유분석 단계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은유분석 단계를 통한 분석 결과 걸림돌(48%), 절망 속 희망(32%), 긍정의 전환점(20%) 총 3개 영역의 주요 범주가 도출되었다. ‘걸림돌’의 하위 요인으로는 위험 요소, 기회 상실, 목표 상실, 대학생활 방해로 구성되었으며, 부정적 경험을 나타내고 있다. ‘절망 속 희망’의 하위 요인으로는 기회, 선악 공존, 반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긍정적 경험 및 인성 함양이 포함되어 있었다. ‘긍정의 전환점’의 하위 요인은 생활의 전환, 생각의 전환, 삶의 전환으로 구성되었고. 내재적 동기를 기반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 포스트 코로나가 시작된 시기임에도 오늘날의 지구촌은 환경오염과 또 다른 감염병, 인구구조의 변화가 계속 되어 언제든 찾아올 수 있는 유사성 팬데믹에 대한 교육학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대학교의 비대면 체육수업 및 미래 체육교육을 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mpirical perception of COVID-19 among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32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H University in Seoul. The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 was mounted on the e-class to collect the answered data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etaphor analysis stage of Gök & Erdogan (2010).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metaphor analysis stage, a total of three main categories were derived: obstacles (48%), hopes in despair (32%), and turning points of positivity (20%). The sub-factors of ‘stalking stones’ consisted of risk factors, loss of opportunity, loss of goal, and obstruction of college life, and showed negative experiences. The sub-factors of “hope in despair” consisted of opportunity, coexistence of good and evil, and reflection, and included positive experience and personality cultivation.The sub-factors of the ‘transition point of positivity’ consisted of a change in life, a change in thought, and a change in life. It showed a positive effect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 Conclusion: Today’s global community must come up with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the similarity pandemic, which can come at any time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other infectious disease, a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continue, even though the post-COVID-19 began.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preparing for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future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the future.
Bibliography: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3.4.2.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