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수 실행 구조 구성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교육 환경 속에서 무용교육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실행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무용교육 맥락에서 인지적 이해, 실천적 적용, 성찰적 판단의 세 차원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역량으로 재정의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경력과 디지털 활용 수준을 사전 검토한 후, 이론적 분석과 선행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핵심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용교육자의 역량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교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문화예술 Vol. 6; no. 2; pp. 635 - 650
Main Authors 이패멍, Li Pei-me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예술학회 30.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5.6.2.63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교육 환경 속에서 무용교육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실행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무용교육 맥락에서 인지적 이해, 실천적 적용, 성찰적 판단의 세 차원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역량으로 재정의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경력과 디지털 활용 수준을 사전 검토한 후, 이론적 분석과 선행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핵심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용교육자의 역량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교수 실행 흐름을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무용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인지적 이해, 실천적 적용, 성찰적 판단의 세 차원으로 구성해 보고, 각 차원에 따른 교수 실행 흐름을 단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제시된 구조는 단순한 기술 활용을 넘어서 교사가 수업 전반을 조율하고 교육적 판단을 내리는 데 요구되는 실행 역량을 고려한 것으로, 예술성과 기술성을 조화롭게 반영할 수 있는 교수 설계 방향 중 하나로 논의될 수 있다. 실증적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론 중심의 구조 설계를 통해 향후 실천적 탐색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하였다. 결론: 기존의 기술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교사가 수업을 조율하는 교육적 주체로서 요구되는 복합적 역량을 구조화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무용 수업의 특성과 디지털 기술의 접점을 모색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제안된 실행 흐름은 예술성과 기술성을 함께 고려한 교육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론 기반의 구조 설계를 통해 후속 연구와 실천적 적용의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edagogical implementation framework to enhance digital literacy among dance educators in the context of accele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literacy is redefined as a multidimensional capacity in dance education, encompassing cognitive understanding, practical application, and reflective judgment. Methods: Prior to the theoretical design, the backgrounds of participating dance educators―including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settings, and digital competency levels―were examined. Based on this groundwork, the study employs theoretical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o conceptualize digital literacy and structure its core dimensions. Based on this, a staged instructional design flow is constructed to align with each level of educator competency. Results: The resulting framework outlines a pedagogical model that supports dance educators in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into their teaching practices, while preserving educational agency and artistic sensitivity. Conclusion: This framework offer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contributes to redefining the role of dance educators as adaptive mediators between digital technologies and embodied learning.
Bibliography:Society of International Culture&Art
ISSN:2733-6654
2765-6985
DOI:10.46506/jica.2025.6.2.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