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일본지역학 동향분석: 2000년대 이후 주요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일본지역학 관련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연구아젠다의 경향과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국내 9개 학술지에 게재된 총 7,061편의 논문의 영문 키워드에서 명사만을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과 LDA 기반의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 핵심 키워드는 ‘japan’, ‘korea’였으며 양국간의 관계를 넘어선 키워드는 ‘literature’, ‘war’, ‘langu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 , 7(1) pp. 79 - 96
Main Authors 전지영, 현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글로벌지역학연구소 31.03.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86-0305
2586-3797
DOI10.31720/JGA.7.1.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일본지역학 관련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연구아젠다의 경향과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국내 9개 학술지에 게재된 총 7,061편의 논문의 영문 키워드에서 명사만을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과 LDA 기반의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 핵심 키워드는 ‘japan’, ‘korea’였으며 양국간의 관계를 넘어선 키워드는 ‘literature’, ‘war’, ‘language’, ‘culture’, ‘policy’ 등 인문학 및 정책 주제 키워드이다. 다음으로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총 21개의 토픽을 도출하여키워드를 통해 알 수 있는 연구 경향을 주제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출된 토픽은 일본문학, 일본역사⋅문화, 일본경제⋅경영, 일본어교육 등으로 압축할 수 있지만, 최근 경향을 반영한 이주⋅이민, 자연재해⋅환경문제에 관한 연구주제들로 다양화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일본지역학의 향후 과제와 후속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Japa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domestic journals. A total of 7,061 papers published in nine Korean domestic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July 2022 conduct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to measu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keywords, word cloud visualization, annual trend (time series analysis), topic modeling, and LDA model. As a result, the key keywords that showed overwhelmingly high frequency through text mining were ‘japan’ and ‘Korea’, and keywords bey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literature’, ‘war’, ‘language’, ‘culture’, and ‘policy’. Next, a total of 21 topics were derived using topic modeling, and it can be compressed into Japanese literature,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Japanese economy and management,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ut it has diversified into research topics on migration, immigration, natural disasters and environmental issues reflecting recent trends. Recently, the trends of Japan studies in Ko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Japanese language research, Japanese literature research, Japanese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Japanese politics, Japanese history, Japanese economy and management, and Japanese culture and touris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iewed the trends of Japan studies in Korean domestic journals since 2000 using a topic remodeling analysi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so exist. As stated in Chapter 3, in conducting research, Japanese-related regional stud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were not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Japanese-related papers are published in journals such as economics, politics, sociology, international studies, geography, and anthropology, it is a limitation of this paper that these papers were not used for analysis. In collecting future thesis data,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all Japanese-related papers contained in Korean Citation Index. KCI Citation Count: 5
ISSN:2586-0305
2586-3797
DOI:10.31720/JGA.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