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포트 진출입 공역 내 침입체 대응을 위한 위험도 기반 감시 체계 운용 개념 설계 연구
도심항공교통의 상용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버티포트 진출입 공역의 안전 확보가 중요한 기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공항감시체계는 조류나 드론과 같은 비협력 침입체에 대한 탐지와 실시간 위험도 판단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버티포트 주변 공역 내 침입체의 특성과 행동 양상을 기반으로 한 위험도 기반 감시 운용 개념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버티포트 구조와 침입체유형별 위협 요소를 분석하고, 다중 감시체계와 실시간 위험도 평가 모델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침입체의 위협 수준을 정량화하여 공역의 가용성 상태를 판단하고,...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9; no. 4; pp. 345 - 355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항행학회
3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9026 |
DOI | 10.12673/jant.2025.29.4.345 |
Cover
Summary: | 도심항공교통의 상용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버티포트 진출입 공역의 안전 확보가 중요한 기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공항감시체계는 조류나 드론과 같은 비협력 침입체에 대한 탐지와 실시간 위험도 판단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버티포트 주변 공역 내 침입체의 특성과 행동 양상을 기반으로 한 위험도 기반 감시 운용 개념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버티포트 구조와 침입체유형별 위협 요소를 분석하고, 다중 감시체계와 실시간 위험도 평가 모델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침입체의 위협 수준을 정량화하여 공역의 가용성 상태를 판단하고, 상황에 따라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운용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본 감시 개념은 향후 자동화 기반의 고밀도 UAM (urban air mobility)운영 환경에서 실시간 상황인식 및 의사결정 지원 체계로 확장될 수 있다.
As urban air mobility (UAM) moves toward full-scale commercialization, ensuring the safety of vertiport approach and departure airspace has emerged as a critical technical challenge. Traditional airport surveillance systems face limitations in detecting and assessing real-time risks posed by non-cooperative intruders such as birds and drones. This study proposes a risk-based surveillance operation concep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s of intruding objects surrounding vertiports. To this end, the structural layout of vertiports and threat factors by intruder type are analyzed, and a multi-sensor surveillance framework along with a real-time risk assessment model is designed. The proposed system quantifies the threat level of intruders to determine airspace availability and issues alerts to support operator decision-making. This surveillance concept can be extended to future high-density UAM environments, enabling automated situational awareness and decision support. |
---|---|
Bibliography: | 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
ISSN: | 1226-9026 |
DOI: | 10.12673/jant.2025.29.4.3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