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부 관절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접근법
손가락 관절통은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이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원인이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문진과 신체 검사를 통해 감별 진단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진단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환자의 성별, 나이, 발생 시기, 관절통의 부위, 분포, 염증 소견유무를 종합하여 적절한 감별 진단을 해야 한다. 이후 진단을뒷받침하는 혈액 검사, 영상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최종 진단을 내리고, 이에 맞는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KCI Citation Count: 3...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1; no. 3; pp. 264 - 26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01.12.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9364 2289-0769 |
DOI | 10.3904/kjm.2016.91.3.264 |
Cover
Summary: | 손가락 관절통은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이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원인이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문진과 신체 검사를 통해 감별 진단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진단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환자의 성별, 나이, 발생 시기, 관절통의 부위, 분포, 염증 소견유무를 종합하여 적절한 감별 진단을 해야 한다. 이후 진단을뒷받침하는 혈액 검사, 영상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최종 진단을 내리고, 이에 맞는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G704-000582.2016.91.3.010 |
ISSN: | 1738-9364 2289-0769 |
DOI: | 10.3904/kjm.2016.91.3.2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