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다문화 가족 보도의 프레임 연구
최근 농촌지역의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외국인 주부들의 한국 문화 적응과 2세대 자녀들의 교육문제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06년에 결혼한 농림어업종사자 중 41%가 외국인을 신부로 맞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2006년 혼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2006년 결혼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한국남자 8,596명 중 41%에 해당하는 3,525명이 외국 여자와 결혼했다. 이는 2006년 외국여자와의 혼인 3만208건의 11.7%에 해당된다. 특히 시도별 혼인 중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와의 혼인구성비는 전남(15....
Saved in:
| Published in | 농촌경제 Vol. 31; no. 1; pp. 159 - 180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04.2008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8263 2713-9506 |
| DOI | 10.36464/jrd.2008.31.1.008 |
Cover
| Summary: | 최근 농촌지역의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외국인 주부들의 한국 문화 적응과 2세대 자녀들의 교육문제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06년에 결혼한 농림어업종사자 중 41%가 외국인을 신부로 맞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2006년 혼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2006년 결혼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한국남자 8,596명 중 41%에 해당하는 3,525명이 외국 여자와 결혼했다. 이는 2006년 외국여자와의 혼인 3만208건의 11.7%에 해당된다. 특히 시도별 혼인 중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와의 혼인구성비는 전남(15.1%), 전북(12.9%), 경북(11.7%), 충남(10.8%), 경남(10.8%), 충북(10.3%)등 주로 농어촌지역인 8개도가 10%를 초과했다.
이처럼 국제결혼한 부부들이 늘어나면서 문화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 국적의 장벽을 넘어 결혼한 부부들이 상호이해의 폭을 넓히지 못해 별거를 하거나 이혼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농촌 다문화 가족의 등장은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농민의 삶을 재조명해주는 보도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언론보도의 프레임은 현안 또는 쟁점 등의 현실을 사회적으로 재구성한다(Gamson & Modigliani, 1989)는 관점에 볼때 농촌 다문화 가족에 대한 언론보도는 농촌과 농민들을 보는 태도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기틀린(Gitlim, 1980)은 언론보도 프레임의 사회적 현실 재구성은 현실에 대한 인식 · 해석 · 선택 · 강조 · 배제를 통해 이뤄지는 지속적인 재해석의 패턴이며, 이에 따라 언어적 · 비언어적 담론, 즉 미디어 담론이 조직화된다고 보았다.
그래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언론매체는 여론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므로 언론에 보도된 농촌다문화 가족을 살펴보는 것은 국민이 농촌과 농민을 바라보는 시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는 언론이 보도 대상과 이슈의 특정 측면들을 선택 · 강조 · 배제함으로써 실존하는 현실을 반영하기보다는 여과된 세상의 모습을 반영하는 언론매체의 사회적 현실구성(construction of reality)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news reports by 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ers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Korea and analyzes what types of “news frames” are used.For this purpose, the paper searched KINDS, the Korea Press Foundation's news search site, and looked into news articles with headlines and texts containing the following keywords:‘international marriage,’ ‘rural+international marriage,’ ‘multi-cultural,’ and ‘rural+multi-culture.’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edia’s reports related with the multi-culture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hematic frame” report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passing of time, breaking away from “episodic frame” news that focus merely on anecdotal reporting of incidents. As a result, the media's role of presenting alternative visions of society is being strengthened as it enhances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esents necessary means and supports for them to settle down in Korea. Thus, it can be judged from this fact that the media is playing a certain role of providing the public with discussion forums 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communities in Korea. And now it is necessary for the society to prepare for and respect the racial and cultural diversity in Korea KCI Citation Count: 4 |
|---|---|
| Bibliography: |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G704-000576.2008.31.1.008 |
| ISSN: | 1229-8263 2713-9506 |
| DOI: | 10.36464/jrd.2008.31.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