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캐릭터 유형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와 캐릭터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식화 디자인과 사실적 디자인의 비교

연구배경 디지털 캐릭터는 원 소스 멀티 유스(OSMU)를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분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디지털 캐릭터에 대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국내의 대표적 디지털 캐릭터인 카카오프렌즈와 라인프렌즈의 캐릭터 디자인을 선정하여 이미지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1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두 개의 디지털 캐릭터에 노출된 후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동물의 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61; pp. 151 - 160
Main Authors 서송이, Song-yi Suh, 허정윤, Jungyoon Hu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11.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8.23.4.01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디지털 캐릭터는 원 소스 멀티 유스(OSMU)를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분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디지털 캐릭터에 대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국내의 대표적 디지털 캐릭터인 카카오프렌즈와 라인프렌즈의 캐릭터 디자인을 선정하여 이미지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1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두 개의 디지털 캐릭터에 노출된 후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동물의 형태를 단순, 과장하여 표현한 양식화 디자인이, 인물과 동물의 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디자인보다 익숙한, 부드러운, 따뜻한, 친근한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익숙한, 부드러운, 클래식한 이미지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디지털 캐릭터 디자인이 캐릭터에 대한 이미지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캐릭터 디자인은 동물을 중심으로 양식화하는 것이 사실적 디자인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캐릭터 디자인의 이론적 모델과 실무적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여하는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Digital characters are perceived as new driving forces for developing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utilizing OSMU. However, there have been very limited empirical studies in this related are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oretical and systematic studies regarding digital characters. Methods To investigate the image and preference for two types of digital characters, Kakao Friends and Line Frien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52 adults living in Seoul, South Korea. Respondents were exposed to two types of digital characters, followed by a completion of the questionnaire. Result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ylized design, featuring simplified and exaggerated characters of animals, had a higher level of image such as familiar, soft, warm, and friendly as compared to the realistic design, which are characterized by human beings and realistic animals. Moreover, familiar, soft, and classic images had an effect on character preference.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designs of digital characters have an effect on the image and preference of characters. The research implies that a stylistic design of animals is more effective than a realistic design. Overall, the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which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theoretical models and practical strategies.
Bibliography: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8.23.4.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