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수준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부적응 행동 분석 및 함의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달 수준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부적응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다문화 가정 유아 215명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t -test를 실시하여 변인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달수준에 따른 부적응 행동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 가정 유아 중 인성발달, 언어발달, 신체발달, 예술발달 수준이 낮은 유아의 공격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안행동은 다문화 가정 유아 중 인성발달, 언어발달, 수리발달, 과학...
Saved in:
Published in | 다문화와 평화 Vol. 14; no. 3; pp. 48 - 7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30.12.2020
다문화평화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0.14.3.00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달 수준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부적응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다문화 가정 유아 215명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t -test를 실시하여 변인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달수준에 따른 부적응 행동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 가정 유아 중 인성발달, 언어발달, 신체발달, 예술발달 수준이 낮은 유아의 공격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안행동은 다문화 가정 유아 중 인성발달, 언어발달, 수리발달, 과학발달, 신체발달, 예술발달 수준이 낮은 유아들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만행동은 다문화 가정의 유아 중 인성발달, 언어발달, 수리발달, 과학발달, 사회발달, 예술발달, 신체발달 수준이 낮은 유아들이 많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높여 주기 위해서는 인성, 언어, 수학, 과학, 사회, 예술, 신체발달 수준을 총체적으로 높여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maladjustment behavi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by performing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low levels of character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art development, had high aggressiv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low levels of character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mathematical development, scienc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art development were found to have a lot of anxiety behavior. Distraction behavior was found to be frequently performed by children with low levels of personality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mathematical development, scienc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rt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amo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overall in order to increase the adaptation of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
Bibliography: | SUNGKYUL UNIVERSITY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
ISSN: | 2092-576X |
DOI: | 10.22446/mnpisk.2020.14.3.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