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축구 선수들이 인지한 조직후원인식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관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축구 선수들이 인지한 조직후원인식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그 과정에서 선수들의 자기관리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회수한 137부의 설문지 중 13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Lisrel 9.2를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SPSS 21.0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선수들이 인지한 조직후원인식이 자기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의 자기관리는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32; no. 3; pp. 403 - 410
Main Authors 홍은아, Eunah Hong, 정예지, Yejee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과학원 30.09.2021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축구 선수들이 인지한 조직후원인식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그 과정에서 선수들의 자기관리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회수한 137부의 설문지 중 130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Lisrel 9.2를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SPSS 21.0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선수들이 인지한 조직후원인식이 자기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의 자기관리는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수들의 자기관리 정도는 조직후원인식과 혁신성과와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후원인식을 통한 자기관리의 극대화가 고등학교 축구 팀 선수들의 혁신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on innovative performance. Of particular note, we focused on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self-management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novative performance. METHODS A total of surveys returned was 137 and the data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as 130.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Lisrel 9.2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self-management. Second, players’ self-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innovative performance. Third, players’ self-management fu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layers’ innovative performance.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d that maximizing bo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management of the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are necessary in order for the organization to achieve high level of innovative performance.
ISSN:1598-2920
2233-7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