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 민감성이 높은 사람들에 대한 단기 마음챙김 개입의 사회불안 완화 효과

본 연구는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에 대한 개입으로 마음챙김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거절 경험을 탈중심화해 비판단적으로 관찰하면, 불안과 회피와 같은 부적응적 여파가 감소될 것이라는 가정을 무선화된 통제연구를 통해 입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391명의 사이버대학생중 거절민감성이 높은 29명을 선별하여, 마음챙김 개입집단(n=10), 주의분산 집단(n=9), 대기 통제집단(n=10)에 무선할당했다. 마음챙김 집단에서 참여자들은 2시간의 집단회기 2회를 통해 자신이 상기한 거절경험에 대해 알아차리고 관찰하며 마음챙김하는 연습을 했고, 주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간이해 Vol. 40; no. 2; pp. 63 - 88
Main Authors 남기석, Nam Ki Suk, 황성훈, Hwang Seong H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12.2019
학생생활상담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0860
2671-5821
DOI10.30593/JHUC.40.2.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에 대한 개입으로 마음챙김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거절 경험을 탈중심화해 비판단적으로 관찰하면, 불안과 회피와 같은 부적응적 여파가 감소될 것이라는 가정을 무선화된 통제연구를 통해 입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391명의 사이버대학생중 거절민감성이 높은 29명을 선별하여, 마음챙김 개입집단(n=10), 주의분산 집단(n=9), 대기 통제집단(n=10)에 무선할당했다. 마음챙김 집단에서 참여자들은 2시간의 집단회기 2회를 통해 자신이 상기한 거절경험에 대해 알아차리고 관찰하며 마음챙김하는 연습을 했고, 주의분산 집단에서는 중립적 심상을 떠올려서 거절경험으로부터 주의를 분산하는 연습을 했다. 마음챙김의 수준과 함께 거절민감성과 사회불안을 사전, 사후, 그리고 처치 한달 후의 추수시점에서 측정했다. 그 결과, 마음챙김집단은 다른 두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사후 및 추수 시점에서 더 높은 마음챙김 수준과 더 낮은 거절민감성을 보였다. 반면에 사회불안에서는 사전과 사후 시점에서 세 집단간 차이가 없었고, 추수시점에야 비로서 마음챙김 개입집단이 더 낮은 사회불안을 보여서, 마음챙김의 사회불안 완화효과는 나타나되 시간이 흐른 후에 더 분명해지는 양상이었다. 끝으로 2회기 마음챙김 개입의 임상적 활용방안과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했다. This study focused on mindfulness as the intervention method for individuals high on Rejection Sensitivity (RS) and Social anxiety (SA). Though a randomized control trial,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maladaptive sequela of RS such as social anxiety and avoidance will be reduced if one could decenter the inevitable social experience of rejection from themselves and watch it nonjudgmentally. A total of 29 participants with high 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Mindfulness Intervention (MI) group, DC group, and Waitlist Control (WC) group. Result revealed that the MI group showed higher mindfulness levels than the DC and WC group, suggesting that the mindfulness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mindfulness. In th MI group, RS and SA significantly decreased at post-treatment compared to pre-treatment; this mitigation effect was also maintained at follow-up. Finally, we discussed the clinical application plan of the mindfulness intervention and noted the study limitations.
Bibliography:Student Counseling Center of Sogang University
ISSN:2005-0860
2671-5821
DOI:10.30593/JHUC.4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