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을 추정하고, 그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중 2기 패널데이터의 2차(2015) ~ 4차(2017)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지역아동센터를 다니고 있는 한부모가족 청소년으로 초등학교 5학년 ~ 중학교 1학년 초기 청소년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Saved in:
Published in | 청소년복지연구 Vol. 21; no. 1; pp. 135 - 164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1.03.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705 2466-2348 |
DOI | 10.19034/KAYW.2019.21.1.06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을 추정하고, 그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중 2기 패널데이터의 2차(2015) ~ 4차(2017)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지역아동센터를 다니고 있는 한부모가족 청소년으로 초등학교 5학년 ~ 중학교 1학년 초기 청소년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존중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궤적은 유의미한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초기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자아존중감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의집중, 교사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존중감을 완만하게 감소시키는 요인은 우울, 또래 의사소통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과 개입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modified version of a paper presented at the Policy Forum for the Verification of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In this study,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2nd (2015) thru the 4th (2017) wave surveys of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 panel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early adolescents, who are between the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grade in middle school, living either with a mother or a father, and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self-esteem in single-parent families consistently decrease with higher school grade and that their self-esteem developmental trajectory shows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Second, as for the predi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level of the self-esteem development trajectory in singleparent- fami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stress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have negative effects, whil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Also, it was verified that depression and peer communication are factors gradually lowering the adolescents’ self-esteem as their school grade increas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e implications of providing basic data for better programs and intervention services for community child centers. |
---|---|
Bibliography: | 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http://dx.doi.org/10.19034/KAYW.2019.21.1.06 |
ISSN: | 1229-4705 2466-2348 |
DOI: | 10.19034/KAYW.2019.21.1.06 |